조직 공정성과 자발적 이직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voluntary turnove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 한국경영교육학회
- 경영교육연구
- 경영교육연구 제27권6호(통권76집)
-
2012.12331 - 352 (22 pages)
- 490

자발적 이직은 숙련된 인력이 조직을 이탈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비용을 초래하며, 잔류 종업원들에게도 정서적 몰입도를 낮추는 등의 부정적 측면이 있다. 특히 벤처기업의 경우 인력유출은 기술유출은 물론 기술 인력의 네트워크를 약화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한다는 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덕특구에 입지한 벤처기업 종사자들로부터 회수한 458부의 설문을 바탕으로 조직공정성과 정서적 몰입 및 자발적 이직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은 모두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과 배분에 따른 승진이나 임금결정이 구성원들의 노력정도를 고려하며, 규정이나 절차를 준수하고 모든 구성원들에게 균형적으로 적용될 때 구성원들의 조직에 대한 몰입도가 높고, 이직 가능성도 낮아질 것이다. 둘째로 매개효과 분석결과 상호작용공정성은 정서적 몰입을 경유해서만 이직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부분적으로 정서적 몰입을 경유하고, 상대적으로 상당부분은 이직의도에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서적 몰입은 분배, 절차, 상호작용 공정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이들 공정성을 유지하거나 제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조직에 대한 몰입감을 높이는 것도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and voluntary turnove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verify and achieve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questionnaire data are gathered and analysed from 458 employees in Daedeok Innopolis Venture Enterprises, Dae-jeon Metropolis, South Korea. Voluntary turnover is measured as intention to leave which was measured in other papers.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are applie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1)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2)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tention to leave, 3)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tention to leave. Empirical surve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are all related positively with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leave. Seco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ppeared to mediate partly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ve/procedural justice and intention to leave. And it mediate full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intention to leave.
요약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의 설계
Ⅳ. 조사결과의 분석
Ⅴ. 결론 밎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