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포트 벡터와 뱀형상 윤곽선을 이용한 TRUS 영상의 전립선 분할
A Prostate Segmentation of TRUS Image using Support Vectors and Snake-like Contour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第17卷 第12號
-
2012.12101 - 109 (9 pages)
- 6

TRUS 영상에서 전립선에 대한 많은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정확한 전립선 경계의 추출이 요구된다. 여기에는 전립선 경계의 애매함, 반점, 낮은 그레이 레벨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서포트 벡터와 뱀형상 윤곽선을 이용하여 TRUS 영상의 자동 전립선 분할에 대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전처리, 가버 특성 추출, 학습, 전립선 추출 단계로 구성된다. 텍스처 특성을 추출하기 위하여 가버 필터 뱅크가 사용되며, 학습 과정에서 전립선과 비전립선의 각 특성을 얻기 위하여, SVM이 사용된다. 전립선의 경계는 뱀형상 윤곽 알고리즘에 의해 추출된다. 실험 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은 인간 전문가가 추출한 경계와 비교했을 때 9.3%보다 적은 차이로 전립선 경계를 추출할 수 있었다.
In many diagnostic and treatment procedures for prostate disease accurate detection of prostate boundaries in transrectal ultrasound(TRUS) images is required. This is a challenging and difficult task due to weak prostate boundaries, speckle noise and the short range of gray levels. In this paper a method for automatic prostate segmentation in TRUS images using support vectors and snake-like contour is presented. This method involves preprocessing, extracting Gabor feature, training, and prostate segmentation. Gabor filter bank for extracting the texture features has been implemented. A support vector machine(SVM) for training step has been used to get each feature of prostate and nonprostate. The boundary of prostate is extracted by the snake-like contour algorithm. The results showed that this new algorithm extracted the prostate boundary with less than 9.3% relative to boundary provided manually by experts.
요약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Related Studies
Ⅲ. Segmentation using Gabor Features and Snake-like Contour
Ⅳ. Experiment and Evaluation
Ⅴ. Conclusion and Future works
References
저자소개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