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S 측위법을 이용한 정표고 산출의 정확도 비교분석
A Comparison Analysis of Orthometric Height Accuracy Using VRS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韓國地籍學會誌 第28卷 第1號
-
2012.06179 - 191 (13 pages)
- 198

본 연구는 VRS측위방법에 의한 GPS/Leveling의 정확도를 분석을 위해 국가기준점을 이용한 직접수준측량을 통한 기준점의 정표고와 VRS측위방법의 GPS/Leveling에 의한 기하학적 지오이드고의 정표고를 공공측량작업규정의 오차허용범위와 상호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기준점을 이용한 수준망도의 관측결과는 직접수준측량 성과인 정표고와 최대 -0.123m, 최소 0.050m, 수준점을 이용한 수준망도는 -0.140m, 최소 0.069m, 통합기준점과 수준점을 조합한 수준망도의 경우 최대 -0.068m, 최소 0.002m로 나타났다. 통합기준점과 수준점의 경우 모두 공공수준측량작업규정의 허용오차를 벗어났으나 통합기준점과 수준점을 조합한 수준망도에서는 3급 허용오차내에 4점, 4급 허용오차내에 7점으로 나타나 망구성의 적용에 따라 정표고 산출값이 달라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수준망 적용에 따른 오차를 종합적으로 볼 때 국가기준점들의 분포도에 의한 최적의 수준망도를 구성한다면 직접수준측량성과와 대등한 수준성과가 도출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rror tolerance on regulation of public surveying between orthometric height of control point by direct leveling and geoidal height of GPS/Leveling using VRS in order to analysis the accuracy of VRS. As a result of compared with direct leveling of orthometric height in leveling net that using unified control point error was maximum -0.123m, minimum 0.050m, using bench mark error was maximum -0.140m, minimum 0.069m, using combination of unified control point and bench mark error was maximum -0.068m, minimum 0.002m The orthometric height value was different according to net compose of application that in case of surveying the unified control point and bench mark was out of error tolerance in public surveying regulation, but the surveying of combination unified control point and bench mark were grade 3 to 4 each 4point and 7point. Therefore, it may extract the survey result of direct leveling with equal height result as this study of comprehensive conclusion that nation control point from distribution chart can be composed optimum leveling net.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데이터 취득 및 처리
4. 비교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