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帝에 의한 朝鮮 潛入盜測 硏究
A Study on Japanese Empire’s Infiltration Surveying on Chosun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韓國地籍學會誌 第28卷 第2號
-
2012.12109 - 125 (17 pages)
- 230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의 조선에 대한 잠입도측의 실태를 조사ㆍ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잠입도측이 우리에게 미친 영향을 평가한 후,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잠입도측이 우리에게 미친 영향으로 첫째는 잠입도측으로 인한 근대적인 지형도가 작성 되었고, 둘째는 조선 침략의 주체인 일본 육군은 잠입도측으로 지적정보를 취득하여 침략의 유리한 교두보를 확보하였으며, 셋째는 잠입도측으로 인해 조선의 상세 지형정보가 해외로 유출되었으며, 넷째는 잠입도측 결과 독도가 한국 땅이었다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 결과, 조선 잠입도측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으로 첫째는 일제에 의해 감행된 조선 잠입도측은 한일병합의 출발선이 되었고, 둘째는 지적제도의 발생설 중 침략설을 규명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셋째는 독도가 한국 땅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넷째는 조선 잠입도측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근대지형도가 완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Japanese Empire’s infiltration surveying on Chosun, to evaluate its effect on us,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nfiltration surveying had 4 effects on us. First, modern topographic map was made base on the infiltration surveying. Second, Japanese army, the main body of the occupation of Korea obtained cadastral information through the infiltration surveying and secured the bridgehead for the invasion. Third, Chosun’s detailed topographic information was leaked to the overseas due to the infiltration surveying. Fourth, the infiltration surveying proved that Dokdo Island had been Korean territor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4 implications from Chosun infiltration surveying. First, Japanese Empire’s infiltration surveying on Chosun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Korea-Japan annexation. Second,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identity the Invasion Theory asserting that Japanese Empire’s invasion had caused the cadastral system. Third, it proved that Dokdo is Korean territory. Fourth, Chosun infiltration surveying provided an opportunity to complete the modern topographic map of Korea.
요약
ABSTRACT
1. 서론
2. 잠입도측의 일반적 고찰
3. 일제의 조선 잠입도측 실태 분석
4. 조선 잠입도측에 대한 영향 평가 및 시사점
5.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