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토지측량방식으로서 九章算術(구장산술)의 유용성

Usefulness of Nine Chapter on the Mathematical Art as a Method for Land Surveying

  • 371
110723.jpg

토지측량방식은 기술의 발달에 따라 많은 유형이 대두되었지만 우리나라 왕조시대에 적용했던 방식에 대해서는 관심이 상대적으로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왕조시대에 적용했던 측량방식인 구장산술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그 유용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범위는 구장산술에 한정하고,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하여 2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접근방법은 서술적 접근방법과 비교론적 접근방법을 병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견지에서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구장산술의 구성 체계 및 접근 틀(framework)차원, 둘째, 왕조 별 구장산술의 적용 및 내용 차원, 셋째, 각 왕조 별 구장산술의 유용성 및 현대 토지측량방식의 의미 차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Land surveying methods have been resurfaced with the various type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But its methods that implemented into the dynastic period is the lack of concern relatively. For that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vailability by concretely reviewing Nine Chapter on the Mathematical Arts(NCMA) as surveying methods that implemented into the dynastic perio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research range was limited to NCMA. Survey was carried on through collecting the secondary research data by literature review, and a descriptive and comparative approach was applied concurrently.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examined in terms of organizing system of NCMA and approach framework. Second, it was conducted as a viewpoint of the application and contents of NCMA in the annals of dynasty. Third, it was referred to the availability of NCMA in the annals of dynasty and the meaning of modern land surveying methods.

요약

ABSTRACT

1. 서론

2. 구장산술(九章算術)의 구성 체계 및 접근 틀

3. 왕조 별 접근 틀에 의한 구장산술의 적용

4. 토지측량에 있어 구장산술의 유용성 및 시사

5.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