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와 AHP분석에 의한 생태습지의 생성 및 유지조건 도출
Ecological Wetland's Creating & Maintaining Conditions through GIS & AHP Analysis
- 한국측량학회
- 한국측량학회지
- 한국측량학회지 제31권 제1호
-
2013.0229 - 40 (12 pages)
- 123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 유역내 자연적으로 생성되어 오랜 시간 습지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습지들을 대상으로 습지가 가지는 공통적 특성을 GIS 와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에 의해 분석함으로써 습지의 생성 및 유지 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습지에 대한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지형학적, 지질학적, 수리 수문학적, 토양학적, 환경 생태학적 측면의 5개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 카테고리별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중첩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각 연구대상 습지들에 연계하여 충족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연구대상 습지들이 갖는 공통적인 생성 및 유지조건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요인들에 대해 AHP분석기법을 적용해 요인별 가중치를 산출함으로써 보다 신뢰성이 높은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습지총량제의 도입에 있어 습지의 복원 및 유지, 인공습지의 조성을 위한 적지선정에 효과적으로 적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습지의 단순한 보존을 넘어 가치 의 재인식과 함께 자연형 습지 에 대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elicit the ecological wetland's creating and maintaining conditions through GIS an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on common characteristics of wetland, by exploring the function of the long-standing and naturally created wetlands in South Han-river basin. Geomorphological, geologic, hydraulic & hydrological, pedological, environmental & ecological approaches of five categorizations were made based on the documents and precedent studies in order to perform the research object. Elicitation of the common creating and maintaining conditions on the objected wetlands through analysis of satisfactory conditions was conducted by performing an overlay analysis from the gathered information in each category and linking its result to each wetland. Also, elicitation of highly believable qualified analysis result was made by calculating the each factor's weight through application of AHP analysis method on each factor. The research result is expected to be applied effectively in suitability selection for creation of an artificial wetland and restoration and maintenance for naturally created wetlands when introducing the No Net Loss of Wetlands. In addition, with a new understanding on wetland and beyond the value of its conservativeness, this research result can be considered as a solution for Eco-Wetland’s maintainable development.
Abstract
초록
1. 서론
2. 기초분석
3. 습지의 생성 및 유지조건 분석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