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중장년층 경력전환에서의 경력 적응에 대한 연구

Career Adaptabilities as Experienced by Mid-Career Adults in Career Transition

  • 1,919

이 연구는 중장년층의 경력 전환 과정에서 경력 적응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이해하기 위하여 경력 전환 성인들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해 그들의 회고적인 경력 경험을 질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1명의 연구 참여자들의 경력 경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경력 전환에 대한 태도의 변화, 경력 전환 과정에서의 네트워크의 양상, 직무역량의 개발에 대한 인식 등의 세 가지 연구문제에 대한 주제들을 도출하였다. 참여자들은 경력 전환의 과정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발견해가고 지속적인 자기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조직을 떠남으로 갖게 되는 불안정함이 인식되었다가 점차적으로 독립적인 자기 인식으로 변화함으로써, 주체적인 경력 주체로서의 인식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킹은 전환 과정에서 여전히 중요한 적응 능력으로 나타났다. 특히 네트워크의 실질적인 내용이 경력 경험과 경력 지향에 따라 구분됨으로써 단순한 정보수집 차원을 넘어선 적극적인 발달 네트워크 관계 또한 중요함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력 전환에서 경험한 직무역량의 개발은 자기주도적인 지속적 학습과 교육에의 참여가 중요하였으며, 특히 이전 경험과의 연계, 인간관계에 대한 능력 등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이에 따라 경력 전환을 준비하는 성인들을 위한 적극적인 전직지원이 필요하며, 특히 교육과 네트워킹의 연계를 위해 비슷한 경력 지향을 가진 성인들에게 교육과 함께 경력개발을 위한 관계형성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exploratory study aimed at identifying how adults in career transition retrospect their career adaptabilities with regard to changes in their career attitudes, their networking in career transition, and how to foster their competencies required at transition. In-depth interviews with 11 mid-career adults were conducted to produce their career experiences about those three questions. The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revealed the themes of each domain. With the changes in career attitude, participants emphasized that they found what they wanted and developed the competencies related with those wants. Also, participants reported their wants to be employed as barriers to be independent agent in their career, with an increased awareness of continuous self-development and positive attitudes. Secondly, networking ability is reported as an important career adaptational task, but substances of network are more important than the breadth of network itself. Lastly, participants recognized the importances of continuous learning during the process of career transition and they participated in various official and unofficial educational programs. Needs to develop career competencies related with their work are highly valued especially for interpersonal competencies developed from their past experienc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adults in transition or outplacement were drawn; Proactive outplacement service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should be strengthened, and provision of networking opportunities among adults with similar career goals and orientations is critical to promote their career adaptabilities.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