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1156.jpg
KCI등재 학술저널

해남의 유의 曺澤乘ㆍ曺秉侯 父子 연구

Medical men in the late of the Joseon Dynasty-Joh, Taekseung & Joh, Byeong-hu’s Life

  • 17

본고는 19세기 해남 지역에서 儒醫로 활동했던 曺澤乘ㆍ曺秉侯 父子에 대한 본격적 연구의 예비 단계로, 그들의 행적에 관한 문헌 조사와 현장 답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본고는 이들의 행적을 정리하여 학계에 보고하여 이후 논의 생성의 단초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자 한다. 조선 말기, 특히 19세기는 한의학의 역사에서 매우 역동적인 시기였다. 東武 李濟馬(1837~1900)는 四象醫學을 탄생시켰고, 石谷 李奎晙(1855~1923)은 扶陽學說을 통해 과거의 의학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들과 동시대에 살았지만 주목을 받지 못했던 인물로, 해남지방의 儒醫 曺澤乘이 있었다. 조택승ㆍ조병후 부자는 해남지방에서 오랫동안 영향력을 행사하였던 昌寧曺氏 正言公派의 후손들이다. 조택승은 졸헌이라는 호를 지어 평생 인내와 겸손을 좌우명으로 삼아 왔으며 깊은 학식과 의술을 드러내지 않고 은거에 가까운 삶을 살았다. 그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유학 지식을 토대로 시문을 지으며 살아갔다. 말년에는 지역사회에 대한 지식인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자 의학에 심취하여 의술을 배풀었다. 그의 醫名은 중앙에까지 알려져 말년에는 혜민원 주사에 제수되었다. 그의 시문은 그의 문집인 『졸헌집』에 남아 있으며, 그의 모습은 그의 식객이었던 것으로 보이는 최병육에 의해 그려져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그의 의학지식은 아들 조병후에게 이어져 『상한경험방요촬』이라는 책으로 엮어졌으며, 그 내용은 기존의 상한 치료와 구별되는 것들로서 19세기 조선 한의학의 역동적인 변화에 동참하고 있다. 조병후 이외에 손봉구 역시 그의 의술을 이어 받은 것으로 보이며, 『상한경혐방요촬』 이외에 『拙軒要訣』이라는 의서를 지은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the research on Joh, Taek-seung and Joh, Byeong-hu, who were father and son, and both were active as Confucian herb doctors. This study consists of on-site survey and documentary research, through which it aims at organizing and presenting their deeds.ㆍ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especially the 19th century, is marked as the era of high dynamism in the history of Oriental medicine. This period witnessed Lee, Je-ma(1836~1900)creating Sasang Typology, and Lee, Kyu-jun(1855~1923)examining the past medicine in a critical way through Buyang theory and suggesting a new method. In the same period, there was a Confucian herbal doctor named Joh, Taek-seung who exercised considerable influence in Haenam district. Joh, Taek-seung was one of the descendants of Jeongeongong branch of the Johs of Changryeong family clan who had exercised their influence for a long time in Haenam district. Joh, Taek-seung had made patience and humility as his motto by naming himself 'Jolheon' as a pen name all his life; in addition, he lived near to dwelling in retirement without exposing his profound learning and medical practice. Joh, Taek-seung lived writing poetry and prose on the basis of Confucian knowledge under the influence of his father. In his later years, he was infatuated with medicine and gave medical care to the public in an effort to carry out the role as an intellectual for a community. His reputation as a herbal doctor became known even to the central government, being appointed to a position 'Jusa' at Haeminwon( a relief organization for the poor and sick). His poetry remains in his anthology 『Jolheon Collection』 and his appearance drawn by Choi, Byung-yuk, who is believed to be a house-guest, is still handed down to this day. His medical knowledge was succeeded by his son, Joh, Byeong-hu, to be compiled in a book titled 『Sanghangyeongheomyochal』, whose contents are distinct from the existing Sanghan medical treatment, showing that Joh, Taek-seung was taking part in the dynamic change of the 19 century Joseon Oriental medicine. Besides Joh, Byeong-hu, Sohn, Bong-gu was also believed to be handed Joh, Taek-seung's medical practice, and he seemed to compile the medical book titled 『Jolheonyogyeol』.

국문초록

머리말

1. 조택승 조병후의 가계

2. 조택승과 조병후의 생애

3. 조택승 조병후의 의약활동

맺음말

부록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