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1156.jpg
KCI등재 학술저널

근대기 전라좌수영성의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tial change of Jeolla Joasuyeong Castle at the period of modern - focused on the use of land -

  • 76

현재 토지 관리의 시원이 된 일제강점기 토지대장과 지적도를 이용해서, 전통 성곽도시 전라좌수영성의 모습과 그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성과로 그동안 조선 후기에 그려진 ‘호좌수영도’에 의존하던 전라좌수영성의 공간 추정을, 현재 활용하는 지적도로 당시 도로망 등 근대기 공간 이용 양상을 일부나마 확인할 수 있었다. 전라좌수영성의 경우 1914년 국유지 중심의 성곽도시에서 토지의 소유권이 민간으로 이양되는 과정에서, 특히 1921년 일본인들에 의한 토지 점유가 대단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신시가지 확산을 통한 도시발전이 과거 성곽도시 발전의 둔화로 이어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의 결과가 미력하나마 기존 도심의 발전 방향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research was executed to analyze the form and the change of the Jeolla Joasuyeong Castle, traditional castle city, by using a land register and a cadastral map made in compulsory occupation of Japan originated for the land management now.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confirm only part from the cadastral map using now the phase of the use of land and the network of roads at that time for the space presumption of the Jeolla Joasuyeong Castle depended upon Ho Joasuyeong map painted in the late of the Joseon. In the case of the Jeolla Joasuyeong, In the course of the transfer of ownership in 1914, The possession of the land was transferred from the nation to the private ,especially Japanese in 1921. And the city development through the spread of the new city caused a hold up in the growth of the past castle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search the direction of the growth of the existing city in the future.

국문초록

1. 서론

2. 여수의 개관

3. 전라좌수영성의 배치 및 공간 추정

4. 일제강점기 전라좌수영성의 토지이용 변화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