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1156.jpg
KCI등재 학술저널

보성 봉강리 정씨고택 [거북정:龜亭]의 남도주거사적(南道住居史的) 의미

Jeollanam-do historical housing signification of Boseong Geobukjeong

  • 30

거북정은 정손일이 현 주소지인 보성군 회천면 봉강리 677번지에 터를 잡고 산 후 약 40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현 집자리에 자리하고 있다. 가승(家乘)에 의하면 정손일은 훈도공 윤공의 6세손이며, 그 후손들이 지금까지 줄곧 이 집터와 그 주변에서 자작일촌의 영광정씨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거북정이란 보성군 봉강리 정씨고택의 별칭으로 현재 가옥 내에는 안채, 사랑채, 사당을 비롯하여 내삼문, 외삼문 등이 있으며 연못과 정원등이 구성되어 있다. 본래 이 집에는 두 곳에 사랑채가 있었다. 현 문간채가 바깥사랑채였으며 현 사랑채가 안 사랑채였다. 건물의 평면 형태는 바깥사랑채가 ㄱ자형, 안 사랑채가 일자형이었다. 안 사랑채는 정도삼에 의해 초가로 건립되었는데 초창은 300여년이 된 것으로 보이나 그 후 정도삼의 7대손인 정해룡에 의해 다시 와가로 중수되었다. 이시기 바깥사랑채와 안 사랑채 앞 사랑마당에 아름다운 정원이 조성된다. 현재의 가옥은 건축적으로 문화재적 가치가 인정되어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6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공식적인 문화재 명칭은 보성 봉강리 정씨고택이다. 본 연구는 주택의 평면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후지역을 논거로 구분하여 지역적 특성을 밝힌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이 지역 건축물인 거북정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조사를 통해 이제까지 남선형(南鮮形), 남부지방형식, 남도형식 등으로 막연히 표현되는 건축적 특성 속에서 다시 이 지역에 보다 뚜렷이 나타나고 특징 지워지는 건축적 속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만 이러한 속성이 보성 지방에만 나타나는 것들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으나 최소한 이 지역에서 보다 강조된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가 남부지방에 속한 전라남도 지역의 건축적 특성을 제시해 나가는 지속적 연구의 기초적인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Jeong family old house is called to Geobukjeong in Bongang-li, Bosung-gun. Jeong Son il has lived at the old house which takes place in 667 Bonggang ri, Hoecheon-myeon, Bosung-gun for 400years. Geobukjeong does not have so long history, even the thatched-roof was rebuilt as the tiled roofed in recent year. According to the genealogical records, Jeong Son il is the sixth generation in Hundogong Yoongong. The descendants have lived around the ground for the house and made family village of Jajakilchon Yoeonggawang Jeong.There are two Sarangches(detached buildings) in the house. Current Munganchae(outer detached house) was used to be called as Bakatsarangchae and the present Sarangche(interior detached house) was called Ansarangche in the past.Bakatsarangchae is ㄱ shape, Ansarangche detached building is straight shape.Ansarangche was built by Jeong Do sam about 300years ago, it was repaired by Jeong Hae ryong who is 7th generation of Jeong Do sam. The beautiful garden was created in front of Ansarangche and Bakatsarangche. This old house is acknowledged as cultural asset value and designated as Jeollanam-do cultural property 261Ho, the official name is Bosung Bonggang-ri, Jeong family old house. We have researched the local building Geobukjeong based on the existing study which result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by the variety of climate zones in the plane of the house. This study reports more clear characteristics on the local contracture referred undefinedly as southern, southern district, southern province formats. The attributes appear not only Boseong area but other regions, it, however, stands out remarkably in Boseong.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basis of ongoing research of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under Jeollanam-do in the southern part in Korea.

국문초록

Ⅰ. 머리말 : 거북정(龜亭)의 연혁과 가계

Ⅱ. 전남지방 주거건축의 특징

Ⅲ. 거북정 요자형(凹字形) 안채의 형식과 의미

Ⅳ. 맺음말 : 보성지방 주거와 거북정의 특징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