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1156.jpg
KCI등재 학술저널

영산강 유역 민속의 특징과 의미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Folk around the Youngsan-river

  • 101

민속은 자연적, 사회적, 역사적 조건 등에 의해 형성, 변화, 지속을 거치는데, 그 가운데 농경문화 형성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자연환경인 생태적인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영산강 유역의 민속현상의 특징과 의미를 규명하기 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조건들을 연역적 준거로 삼고 민속현상들을 계량학적으로 분석하여 귀납적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연구 대상은 주로 줄다리기, 고싸움놀이, 달집태우기 등의 민속놀이와 입석, 장승, 조탑, 집대 등의 공간민속, 음식민속 등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범위는 영산강과 관계된 장성, 담양, 광주, 화순, 나주, 함평, 무안, 영암, 목포 등 9개 시, 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의도에 따라 파악된 영산강 유역 민속의 특징과 의미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영산강 유역의 민속은 벼농사와 관련된 도작민속의 성격이 강하다는 점이다. 그러한 예로 용설화, 용과 관련된 지명설화, 용신제, 줄다리기 등을 들 수 있는데, 줄다리기의 마지막 과정인 줄감기가 대표적인 민속 지표라고 할 수 있고, 고싸움놀이도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영산강 유역은 용신신앙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곳으로서 이는 생업조건인 벼농사와 관련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두 번째, 영산강 유역의 민속은 평야지역이 치중된 풍수적인 결함을 보완하기 위한 공간민속이 성행한 특징을 보인다. 영산강 유역에서 조사된 공간민속은 입석 474기, 장승 47기, 조탑 18기, 짐대 10기가 조사되었다. 이를 검토한 결과, 입석은 주로 영산강 유역 전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영산강 민속의 대표적인 지표라 할 수 있고, 여기에는 석장승도 포함된다. 영산강 상류지역의 대표적인 민속지표는 조탑과 짐대이고, 이들은 모두가 영산강 유역의 주거공간 및 생업터전 등 공간지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영산강 유역의 민속은 영산강의 수운 발달과 함께 장시가 발전하였고, 그에 따라 음식민속이 발달하였다. 음식민속 가운데 영산강 유역에서 형성되어 전남 전 지역으로 전파된 홍어음식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특히 삭힌 홍어음식은 영산포시장을 거점으로 형성되어 영산강 유역으로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영산포 홍어축제로 연계되면서 영산포는 삭힌 홍어의 생산지요, 소비처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사실을 토대로 영산강 유역 민속의 대표적인 지표는 줄감기, 고싸움놀이, 입석, 석장승, 홍어음식 등이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mains for finding out the features of folk around Youngsan-river valley by the measuring methods and analytic thinking. In consequence, it is classified as some characteristics: First, the folk around Youngsan-river has a characteristic of rice farming and its folk for example: Dragon-folktales(龍說話) and its place names, Dragon-worship(龍神祭), tug of war etc. Julgamgi[Twisting ropes] which is the last process of the tug of war with straw-rope is the great folk-index as well as Gossaumnori festival. Second, space-folks are widely prevalent in Youngsan-river for complementing the defects of Feng-shui(風水) resulted after much area of plains. Especially there are many Standing stones and Stone totem poles. Finally, food-folks like as skates(洪魚) are developed for water transportaion and many markets aournd it. Many foods made of skates are spreaded for all around of Jeollanam-do. As a result, we know that the representative index of folk around Youngsan-river are the Julgamgi, Gossaumnori, standing stones, stone totem poles and foods made of skates.

국문초록

1. 머리말

2. 민속 형성의 환경적 검토

3. 벼농사와 용신신앙으로서 줄다리기

4. 평야지역 공간민속의 실상

5. 뱃길과 향토음식의 형성

6. 민속현상의 특징과 의미

7.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