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oman』誌를 통해 본 1960~70년대 한국여성담론의 국제적 발신
The Making of International Discourse on Korean Women's Issues in the 1960~70s -Focusing on Korean National Council of Women(KNCW) and Its English Bulletin, The Woman
-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역사문화연구
- 제45집
-
2013.02163 - 191 (29 pages)
- 305

이 논문은 국가주도 개발주의 시대, 한국 여성담론 구성의 역사적•사회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여성단체협의회(이하 ‘여협’)의 영문기관지『The Woman』의 형식과 내용, 그리고 유통과정 및 정치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여성문제가 당대 엘리트 여성과 남성 지식인들에 의해 어떻게 인식되고 재현되고 또 서구에 발신되었는지를 살펴본다. 1960〜70년대 한국이 직면하였던 사회적 과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성운동단체들의 집합적 행위는 국내와 국외의 차원에서 동시적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해외에 한국 여성들의 움직임들을 알리기 위한 노력들은 세계여성대회의 참석에서의 발언과 더불어, 영어 인쇄매체를 기관지의 전달이었다. 이 논문은 『The Woman』에 나타난 한국 여성문제들의 핵심적 의제를 1960년대와 70년대의 시기로 각각 나누어 분석하고, 특히, 당대의 근대 국가 만들기의 기획과 여성의 범주가 어떻게 서로 결합하는지, 그 지속과 단절, 진화와 변형의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여성운동단체의 행위 주체성을 냉전시대, 남한이라는 장소성과 연결시켜 해석하고자 한다.『The Woman』誌의 발간주체인 ‘여협’ 의 엘리트 여성운동 지도자들은 국가기구를 통해 한국 여성문제를 해결하려는 전략을 채택했으며, 여성의 법적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국가주도의 근대화기획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였으며, 이를 매개로 서구 여성단체들과 적극적으로 교류하였다. 박정희 정권의 국가주도 개발주의 프로젝트와 당대 여성문제와의 접속과 결합 메커니즘, 그리고 이에 대한 ‘여협’에 의한 국내와 국외로의 전략적 담론화 과정에 대한 분석은 한국여성운동의 핵심 의제의 역사적 구성성과 한국여성운동의 국제교류의 계보를 현재의 ‘글로벌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재성찰해볼 수 있는 중요한 이슈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soci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on Korean women in the 1960s and 1970s. For this purpose, it seeks to historicize how Korean women's issues were perceived and discursivized to audiences outside Korea by elite Korean women's movement leaders and male intellectuals via an analysis of the Korean National Council of Women(KNCW)'s English bulletin, The Woman focusing on its form, contents, international circulation, and political effects. In constructing solidarity and cooperative activities with Western women to solve the Korean Women's Question in the 1960s and 70s, the main communication tool mobilized was print-journalism. This study tries to interpret the agency of Korean women's organizations by analyzing the agendas selected and molded by the KNCW's members 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system and its effects on Korea, as well as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agendas between the 1960s and 70s separately. The core theme which was proposed by elite Korean women's movement leaders was the improvement of Korean women's socio-economic status, and they regarded the legal reform as a good to solve Korean Women's Question. Also, via international exchange with Western women's organizations, they attempted to reveal Korean women's subjectivities to foreign readers and to connect Korean women's collective activities with global movements and trends. By critically reviewing KNCW's strategies, this paper rethinks the historicity of the international movement and its connection with the Korean women's movement, while re-evaluating the hidden relationships between women (as a category) and state in the era of state-led development during the Park Chung-hee regime.
Ⅰ. 서론: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와『The Woman』誌
Ⅱ.『The Woman』誌의 창간과 참여인물
Ⅲ.『The Woman』誌의 한국여성문제 인식과 담론구성의 궤적
Ⅳ. 결론: 한국여성담론의 국제적 발신과 역사적 의미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