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현장조사 및 문헌자료 분석을 토대로 한국 깡충거미의 분포 및 종 구성을 식생 및 지형의 유형에 따라 산, 섬, 내륙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했다. 산림식생에서는 예봉산(31종), 오대산(17종), 속리산(16종)에서 종 다양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산림식생을 제외한 평지에서는 가평(8종), 남해(8종)에서 종 다양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섬으로는 제주도(41종), 울릉도(20종), 임자도(19종)에서 종 다양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종 별로는 흰눈섭깡충거미(Evarcha albaria), 털보깡충거미(Carrhotus xanthogramma), 살깃깡충거미(Mendoza elongate), 불개미거미(Myrmarachne japonica), 까치깡충거미(Rhene atrata), 눈깡충거미(Phintella arenicolor)가 가장 많은 지역에서 분포했고, 흰수염깡충거미(Menemerus fulvus), 해안깡충거미(Hakka himeshimensis)는 섬 및 해안지역에서 다수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색눈깡충거미(Phintella abnormis), 검은날개무늬깡충거미(Telamonia vlijmi), 어리개미거미(Synagelides agoriformis), 네온깡충거미(Neonreticulatus)는 주로 산 지역에 다수 분포하고 있었다. 한국 고유종인 명환까치깡충거미(Rhene myunghwani)와 금골풀무깡충거미(Helicius kimjoopili)는 백령도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서식지의 보호 및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I investigated geographical distribution pattern of jumping spiders in Korea , based on literatures and field surveys. Types of survey habitats were classified into island, inland and mountains. In mountainous areas, jumping spiders of 31 species in Yebong-san, 17 species in Odae-san, and 16 species in Songni-san are distributed, respectively. ln island areas, 41 species in Jeju-do, 20 species in Ullung-do , and 19 species in lmja-do were distributed. ln inland areas, 8 species in Gapyeong and 8 species in Namhae were distributed. Evarcha albaria, Carrhotus xanthogramma, Mendoza elongata, Myrmarachne japonica, Rhene atrat and Phintella arenicolor were the most common species. Menemerus fulvus and Hakka himeshimensis are distributed only on the island . Phintella abnormi, Telamonia vlijmi, Synagelides agoriformis and Neon reticulatus were distributed mainly on the mountains. Endemic species Rhene myunghwani and Helicius kimjoopili were found only on Baengnyeong-do.
요약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List of Figures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