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포이론에 의한 제주방언의 구개음화 분석
A Dispersion Account on the Palatalization of Jeju dialect
-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人文學硏究
- 第20輯
-
2013.10133 - 144 (12 pages)
- 266

이 연구의 목적은 제주방언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변이를 산포이론을 적용해서 새로운 해석을 하는 것이다. 산포이론은 음성학적 분석 방법을 최적성이론에 적용시킨 이론이다. 제주방언의 구개음화에는 ㄷ, ㄱ, ㅎ의 구개음화가 존재하는데, 그 각각이 어떠한 변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제주방언은 음운론적으로 중앙방언과는 많인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서서 제주방언만의 특성을 점점 잃어가고 있다. 젋은 세대의 언어에서 그러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제방언의 이러한 특성을 구개음화의 변이 양상을 통해 고찰해 보고, 산포이론이 제시하고 있는 대조의 수를 최대화하려는 경향에서 그 원인을 찾아 패턴 평가의 방법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This paper provides a new account on the palatalization of Jeju dialect. For this purpose, we employ the frameworks of Optimality Theory and Dispersion Theory(Flemming 1995). The palatalization of Jeju dialect has changed to /t/ palatalization from /t/, /k/, /h/ palatalization. Also, the point of change are definitely different in age. But for the change of palatalization, articulation place of consonants increase to bilabial, palatal, velar, glottal. Here I propose a pattern evaluation procedure for explaining the consequence of palatalization change. Finally, I show that the change of palatalization can be better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two stages and that each stage requires a different constraint ranking accounting for its change more precisely.
국문요약
1. 서론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구개음화 현상
4. 산포이론의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