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1630.jpg
학술저널

몽골에서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발전 방향

The present status and the directions of development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ongol

  • 502

몽골은 한국과 수교 이후 22년간 활발하게 교류하면서 한국어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몽골에서의 한국어교육 현황을 살펴본 결과 단기간에 엄청난 속도로 발전해 온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몽골의 노력만으로는 한국어교육의 넘쳐나는 수요와 다양한 목적을 반영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한국과 몽골의 공동의 노력으로 몽골에서 한국어교육이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정부의 차원과 기관의 차원으로 나누어 모색해 보았다. 정부 차원으로는 첫째, 한국 정부의 지원으로 한국문화원을 설립해야 한다. 둘째,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들을 향해 한국과 몽골 정부는 관심을 갖고,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기관 차원으로는 첫째, 몽골 대학은 한국 대학과의 교류를 통해 교사 재교육이나 한국인 교사 초청, 교사 세미나를 진행해야 한다. 둘째, 몽골 대학은 한국어교육 담당자 모임이나 한국어교재박람회를 열어야 한다. 앞으로 몽골에서 한국어교육이 발전할 수 있도록 한국과 몽골 모두 노력한다면 몽골에서의 한국어교육의 미래는 밝을 것이다.

It has been 22 years since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ties with Mongol. With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Mongol, Mongolians express interest and necessity of learning Korean.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in Mongol, it has been dramatically developed in a very short period time. But only with Mongolians’ efforts, it’s very difficult to reflect overflowing demands and various objectives of Korean education. Therefore, I have sought for the way to develop Korean education in Mongolia by the effort of both Korea and Mongolia including the two governments and institutions. First, The support from the Korean government, they should establish Korea Culture Center in Mongol. And it is essential for developing the mutual-assistance system for the Korean and Mongolian governments. Then, The support from the institutions, Mongolian Universities should make progress in reeducation for the Mongolian teachers of Korean education, the invitations of Korean native teachers or seminars for the teachers. And they should hold executives conferences or Korean Textbook EXPO regularly to share the ideas among the Korean teachers in Mongol. If Korea and Mongol make efforts to make better circumstances in Korean education, the future will be more positive.

국문요약

Ⅰ. 서론

Ⅱ. 한국어교육 현황

Ⅲ. 한국어교육의 특징

Ⅳ. 한국어교육 발전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