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1900년대 초반 전 지구적으로 팽창하는 제국주의의 영향과 봉건의 몰락이라는 정치적, 사회적 정세에서 근대를 향한 모색을 탐색하였던 지식인들에 의해 근대적 주체로 호출된 ‘소년’이 근대적 매체들 안에서 어떻게 표상되고 그리고 이들의 이야기가 변화하는 정세 속에서 우리에게 익숙한 반공소년의 서사로 구축되어 가는 과정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최남선은 1908년 신문관을 설립하고 잡지 ≪소년≫을 창간하였다. 최남선은 근대 국가 설립의 주체로 호출한 ‘신대한 소년’에게 잡지 ≪소년≫을 통해 근대를 감각하게 하였다. 이후 근대적 주체인 ‘소년’은 잡지, 신문, 라디오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근대적 매체의 표상으로 그리고 대상으로서 지속적으로 호출되는데 이러한 과정에 영화 <똘똘이의 모험>이 자리하고 있다. 이 논문의 주요 텍스트인 영화 <똘똘이의 모험>은 영화화되기 이전 라디오연속극으로 먼저 방송되었다. 뿐만 아니라 단행본으로도 출간되기도 하였다. <똘똘이의 모험>이 매체 간 재매개의 과정을 통해 당시의 사회적, 정치적 텍스트와 이러한 절합하는 과정에서 식민지기 잡지와 신문 연재소설로 인기 있었던 소년탐정소설과 연결되는 지점을 찾을 수 있었으며 이는 다시 최남선의 근대기획의 주체였던 ‘소년’으로 이어지는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흔적은 불연속적인 연결 혹은 반복되는 요소들로 박정희 정권기 후반에 만들어진 영화 <똘이 장군>에게 까지 이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반공영화로 각인된 <똘똘이의 모험>과 <똘이 장군>에서 출발하여 최남선의 ‘소년’에게로 되짚어 가는 행로를 통해 흩어진 것들을 발견하고 반공이데올로기의 틀에 갇혀 있는 이들 영화를 역사적 공간으로 이동시켜 살펴보고자 하였다.
‘Boys’ were interpellated as modern subjects by intellectuals who were searching for modernity during a sociopolitical time when feudalism was declining and the effects of imperialism were flourishing globally in the early 1900s. In this thesis, I traced back what ‘boys’ represented in contemporary media and how their stories gradually became the anti-communist boys’ narratives known to us today with changing sociopolitical circumstances. The Adventures of Ttolttori, the main subject of this thesis, was broadcasted as a radio drama series before it was made into a film. The Adventures of Ttolttori was also published as a book. Each time The Adventures of Ttolttori was recreated as a different medium and articulated with social and political texts of the time, a connection to the child-detectivenarrative -popular in colonial period magazine content and newspaper serial novels- could be found, which, in turn, pointed to traces of the use of ‘boys’ as subjects in the early 1900s modernist projects. These traces could also be found in General Ttori, a film made during the later days of the Park Jeong-hui administration, as repeated elements or intermittently throughout the movie.
국문요약
1. 서론
2. 근대적 주체로 호출된 ‘소년’ 그리고 근대적 매체
3. 해방 후 재매개의 과정에서 구축된 <똘똘이의 모험> 서사
4. 박정희 시대의 어린이 영화: 자유 대한민국의 장군 “똘이”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