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1697.jpg
KCI등재 학술저널

高句麗 古墳 壁畵에 표현된 觀念과 實際

The Idea and Reality of Koguryo Mural Paintings on the Point of the Depiction of Central Asians

  • 724

이 글은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서역계 인물로 표현된 제재들을 살피고, 제재들 간의 공반과 시간의 변화를 살핌으로써, 고분벽화에 반영된 관념과 실제를 설명하였다. 고분벽화에서 인지되는 서역계 인물은 수박희나 씨름하는 역사, 생활 속의 인물, 평복이나 갑옷차림의 수문장, 그리고 기마자세로 하늘을 받드는 역사와 등으로 나뉘며, 각각은 등장시점에서의 선후관계를 갖는다. 수박희와 씨름하는 역사, 평복 차림의 수문장은 중국 벽화분이나 화상석에서 보이는 제재이지만, 표현에 있어서는 중국과 다르며, 갑옷차림의 수문장과 하늘을 받드는 역사는 중국에서 보이지 않는 제재이며, 생활 장면 속의 서역인이 함께 묘사되고 있어서, 서역과의 인적교류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비중국적인 서역계 요소가 고분벽화에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것은 5세기전, 중엽경으로 이 시기는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불교 관련 내용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중국 북방을 통한 불교의 수용과 확산이 서역으로부터 유입된 관념의 표현에 주요한 계기의 하나가 되었을 것이다. 결국 고분벽화에서 중국이나 서역적 관념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수용된 이미지나 도상을 그대로 모방한 것이 아니라 당시의 실제를 반영하여 표현한 것이며, 고분벽화와 실제가 유리되지 않은 것은 고분벽화를 통한 고구려 사회의 복원은 어느 정도 유의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ideals and realistic depiction of mural painting, searching for the base data of reconstruction of Koguryo. So, it attempts to explain the ideal and realistic depiction of Koguryo mural paintings on the point of the depiction of Central Asians. There were four types of the depiction of Central Asians: Type 1 was wrestling which was divided into arm wrestling and wrestling. Type 2 was gatekeeper with plain clothes and with armor and helmet. Type 3 was ordinary people. Type 4 was the powerful man standing horseback riding. The depictions of westling and gatekeeper with plain clothes were related to Han Chinese mural paintings, but there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detail. On the other hands the gatekeeper with armor and helmet and the powerful man standing horseback riding were not Han Chinese characters, but connected with Central Asians. The middle role which connect Koguryo into Central Asians was Buddhism in Nothern China. Therefore it shows that the depiction of Central Asians were changed from ideal type to real depiction due to the exchange between Koguryo and Central Asians. And the import momentum of exchange between Koguryo and Central Asians was acceptance of Buddhism wholeheartedly.

Ⅰ. 머리말

Ⅱ. 서역계 인물의 표현과 전개

Ⅲ. 서역계 인물 표현에서 보이는 관념과 실제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