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정밀공간정보의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수치지도의 정확도 기준설정 연구

Study on the Korean Accuracy Standards Setting of Digital Map for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Precise Geospatial Information

  • 96
111809.jpg

GIS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공간정보의 요구 정확도는 활용목적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으며, 공간정보에 대한 정확도는 측량 원자료의 품질과 관계된다. 따라서 정밀한 공간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본도인 수치지도가 정확하게 제작될 수 있도록 정확도 기준이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컴퓨터 매핑 및 GIS 기술이 존재하기 전에는 종이지도가 수작업으로 그려졌기 때문에 지도의 축척은 지도의 정확도를 바로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렇듯 과거에는 지도의 정확도가 지도가 그려질 축척을 결정하였지만, 최근 디지털시대의 경향에서는 정확도가 지도 제작사양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수치지도에 포함되는 품질요소 중 하나로 취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오늘날 정밀한 공간정보의 구축 및 활용에 적합한 수치지도의 정확도 기준으로서 현재 우리나라 수치지도의 표현방식을 대신하는 새로운 기준설정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For various geospatial information such as planimetric and topographic features, the required accuracy may be def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GIS applications. Also, the accuracy of the geospatial information have a major impact on the quality of the raw survey ing data. In order to be usefully applied the precise geospatial information, the accuracy standards must be appropriately set so that the digital map as base map can be accurately made. Before computer mapping and GIS technology existed, paper maps were drawn by hand. So, the map scale was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the map accuracy. As such the past, the accuracy of maps is determined the scale at which the map would be drawn, but recent trends are to treat accuracy as a one of quality elements, rather than a specification for producing the map.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t the new korean map accuracy standards appropriate for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precise geospatial information on behalf of the current representation of korean digital maps.

Abstract

초록

1. 서론

2. 수치지도의 정확도 이론

3. 국내외 수치지도 정확도 기준

4. 정밀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수치지도의 품질확보

5. 결론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