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포은 선생의 해외 체험 중 명나라 사행길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포은 선생은 당대 최고의 국제 외교 전문가였다. 선생의 명나라 사행길은 약 16년 동안 총 6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명나라 사행은 포은 선생의 삶과 문학을 이해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자료이자 路程이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사행길 답사에 따른 세부적인 계획 수립과 함께 우리에게 가져다 줄 수 있는 무언의 단서들에 대해 언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포은학 연구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된다면 그 역시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선생의 명 사행길 답사를 각 省 별로 지구를 나누어 진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는 육로를 통해 압록강을 넘어 요동반도까지 진출하는 遼寧省 지구, 두 번째는 배를 통해 산동반도 萊州로 건너간 뒤 육로 또는 해로로 日照를 거쳐 徐州 등 산동성 남부까지 가는 山東省 지구, 세 번째는 京杭大運河를 통해 내륙 수로로 南京에 이르는 江蘇省 지구, 네 번째는 남경을 떠나 귀국하는 노선에 등장하는 太倉, 長江口의 浙江省 지구가 그것이다. 답사를 통해 선생이 가셨던 길을 정확히 재현함으로써 길 위에서 고뇌했던 인간 정몽주의 詩心을 느끼는 것은 향후 포은학의 발전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 여겨진다. 또한 중국 각 지역에 흩어진 선생 관련 자료들을 수집 발굴하는 성과는 현장이 아니면 얻을 수 없는 점이다. 중국 현지에 있는 각종 문화 기관들이나 朝貢 외교에 대한 중국 내 연구 성과들도 상당수다. 이런 자료들을 취사선택하여 번역하고 정리하는 일은 포은학 연구의 모든 분야에 새로운 자료 를 제공하는 일이 될 것이다. 실제 본 연구에서는 초기 문헌 검토 작업을 통해 钱谦益(1582~1664)의 『列朝詩集』(顺治间刊本作81卷)에 수록된 총6수의 새로운 포은 선생 시를 추가로 확인하는 등 일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圃隐 郑梦周(1337~1392)先生是将礼仪和忠贞节义视为比生命更重要的朝鲜王朝性理学的师表。高丽末期, 大学者牧隐 李穡(1328∼1396)先生也尊称其为"东方理学的始祖"。圃隐生作为名副其实的韩国性理学始祖, 在仍然存有性理学思想的韩国社会中占有一席之地。本研究是将圃隐先生的出国经历中, 出使明朝时的路线做为研究对象。圃隐先生是那个时代最出色的国际外交官。先生以敏锐的国际视角洞察出"高丽末期"和"元明交替期"东亚急剧变化的局势, 想通过实用的外交路线为国家做出贡献。先生大概在16年内总共出使明朝6次。虽然研究有略微的差异, 但是出使明朝时有3次访问过当时的首都南京, 其中有两次肯定是谒见了太祖。剩下的3次都是在辽东被拒绝入关而返回。明朝使行可以说是理解圃隐先生的人生和文学的不可或缺的重要资料和路程。本研究的目是, 制定对出使路线进行实地考察的详细计划, 并且提及出使路线能够给我们带来的线索。如果通过研究能够形成对圃隐学研究的新的转机, 那么本研究将会充分体现出它的价值。 首先, 本研究拟定对先生出使明朝路线的实地考察以省为单位, 分地区进行。第一, 经陆路度过鸭绿江进入辽东半岛的辽宁省地区;第二, 坐船到山东半岛的莱州, 然后转为陆路, 经过日照再到徐州等山东省南部的山东省地区;第三, 经京杭大运河由内陆水路到南京的江苏省地区; 第四, 在从南京回国的路线中出现的太仓, 长江口的浙江省地区。通过实地考察准确地再现先生走过的路, 感受在路途中郑梦周的诗意, 这对以后圃隐学的发展是很必要的。 另外, 如果不在现场, 很难收集和发掘在中国各地流散的有关先生的资料。中国国内也有很多文化机关或者关于朝贡外交的研究成果。对这些资料进行筛选、翻译、整理, 将为圃隐学研究的所有领域提供新的资料。事实上, 本研究通过初期的文献调查工作, 在钱谦益(1582~1664)的 ≪列朝诗集≫(顺治间刊本作81卷)和日照市发现了总共9篇新的圃隐先生的诗, 取得了一些可视成果。 最后, 登州是圃隐先生出行路线开始和结束的地方。实际上, 先生以登州为背景写下了 ≪過海宿登州公館≫, ≪登州仙祠≫, ≪登州過海≫, ≪蓬萊閣≫, ≪蓬萊驛示韓書狀名尙質≫等作品。当时, 登州是山东与韩半岛交流的窗口。高丽王朝和朝鲜王朝时期, 许多使臣入朝时必须经过登州。在先生留下的诗篇中, 以登州为背景抒发了对故国的思念和客居之苦以及对新事物的期待, 并且很坦率的表达了自己对秦始皇和中国文人苏东坡的想法。因为考虑到这些因素, 计划将登州作为实地考察的主要据点城市。
【국문초록】
1. 서론
2. 포은선생 명 사행길의 역사
3. 사행길 답사의 목적과 방법
4. 사행길 답사의 의미
5. 포은선생 사행길과 등주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