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포은종가의 계승과 세거지

圃隐宗家的继承和世代居住地

  • 293

포은종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종가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포은의 위상에 비해 종가의 실상은 극히 미미하다. 여말선초의 벌족 가운데 포은종가처럼 부침(浮沈)이 많은 종가는 없으리라 본다. 포은의 순절 이후, 세조 때 손자 보(保)의 참화, 성종 때 증손 윤정(允貞)의 참화 등으로 역대 임금의 시혜(施惠)에도 불구하고 고려말기 포은종가의 성세를 회복할 수 없었다. 포은종가의 봉사손은 조선 태종 때 포은이 신원되고 추증된 이후, 조선 말기까지 역대 임금으로부터 여러 차례 복호(復戶)와 녹용(祿用)의 시혜를 받았다. 숙종 재위 기간에는 이정구, 송시열의 각별한 배려로 봉사손의 녹용은 물론, 포은의 현양을 위한 여러 사업이 추진되었다. 무엇보다도 단종 복위와 함께 정보에게도 이조참의에 추증되었다. 이때에 이르러 포은과 설곡의 충절이 크게 부각되고 칭송되었다. 충렬서원의 건립, 포은영당의 중건 등도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 재위기간의 이 같은 특별한 배려로 16세기에는 무관직으로 겨우 명맥을 유지해온 영일정씨 포은공파 가문이 17세기에 이르러서는 여러 명의 명망 있는 인물이 배출되었다. 그러나 종가의 봉사손에서는 명망 있는 인물이 배출되지 않았다. 포은 봉사손의 입계 양상에서 살폈듯이 포은종가는 11세손 찬광(纘光) 이후 22세손 의열(義烈)까지 13대에 걸쳐 6차례나 입계하여 봉사손을 계승하는 불운을 겪었다. 이 같은 불운이 포은종가의 위상을 회복하는데 큰 장애가 되었던 것이다. 포은종가의 통혼관계에서도 조선 전기에는 포은의 명성이 그대로 반영되었던 반면, 후기에서는 한미한 가문으로 몰락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포은의 장남 종성(宗誠)은 정종의 4남인 선성군(宣城君)과 양녕대군의 장남인 순성군(順城君)을 사위로 맞아 왕실과 혼척관계를 맺었다. 이 당시야말로 통혼관계에서도 영일정씨 포은공파의 최대 성세였다. 손자 보(保)의 당대까지도 통혼관계는 벌족으로서의 위상을 유지하였다. 설곡의 참화 이후에는 그같은 성세를 살필 수 없다. 포은공파 종가의 경우 죽산박씨, 경주이씨, 창녕성씨, 전의이씨, 청주한씨 등의 가문과 통혼하였다. 그 가운데 용인지역에 세거하는데 상호 영향을 미쳤던 가문은 죽산박씨, 용인이씨, 연안이씨, 순흥안씨, 한양조씨 등이다. 특히 연안이씨 저헌공파(樗軒公派)와의 통혼은 모현면 능원리에 정착하여 세거하는데 상호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조선 후기에는 은진송씨(恩津宋氏)와의 통혼관계가 주목된다. 포은종가 봉사손의 세거지는 조선 건국 이래 말기까지 한양 도성 안에 있었다. 세조 때 정보가 참화를 당하기 이전에는 중부 견평방(堅平坊) 의금부 자리에 거주하였다. 정보의 참화로 포은종택이 적몰된 이후, 두 아들 윤정(允貞)ㆍ윤관(允寬)은 정보의 적소(謫所)인 단성(丹城) 문태촌(文泰村)에서 함께 거주하였다. 정보가 단성 적소에서 졸한 이후에는 장남 윤정은 선조의 향사를 모시기 위해 용인에 거주하였으며, 3남 윤관은 단성에 남아서 정착하였다. 5세손 희(熹)가 성종의 시혜로 사옹원 참봉으로 탁용되면서 다시 한양 도성 안에 거주하게 되었으며, 7세손 진(震)의 집이 한성의 남부 낙선방(樂善坊)에 있었다는 기록을 전제하면, 희(熹)-세건(世健) 부자가 거주한 곳도 낙선방이었을 가능성이 짙다. 8세손 응선(膺善)ㆍ명선(明善)ㆍ종선(從善) 모두 낙선방에서 출생하였다. 1640년(인조18)경 9세손 준(儁)의 집을 방문한 정극후(鄭克後)는 <쌍봉정사부극후시병서(雙峯鄭師傅克後詩幷序)>에서 포은종손이 대를 이어 '남산골'에 2백여년간 거주하고 있음을 칭송하였다. '남산골'은 바로 낙선방을 지칭한 것으로 생각된다. 정준의 다음 세대인 운한(雲翰)-원징(元徵)-찬광(纘光) 까지도 낙선방에 출생하여 세거하였다. 1679년(숙종5)에는 민정중(閔鼎重)의 건의에 따라 묵사동(&#40665;寺洞)에 사당을 건립해주고 자손을 녹용하게 하였다. 1706년(숙종32)에는 포은의 봉사손 호(鎬)가 사당 및 영당을 호동(壺洞)에 옮겨 세웠다. 19세기까지 포은종가가 한성에 있었음을 증빙한다. 1865년경 해주에서 거주하던 종손 정규화(鄭奎和)가 비로소 모현면 능원리에 전입하여 머물게 되었다. 이후로 지금까지 모현면 능원리에 포은종가가 세거하고 있다. 포은의 묘하에 세거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불과 150여년에 지나지 않는다.

圃&#38544;世家可&#35859;是&#38889;&#22269;代表性的世家. &#34429;然和圃&#38544;在&#38889;&#22269;的地位相比世家的&#29366;&#20917;&#36824;是微不足道的. &#22788;于15世&#32426;&#20029;末&#40092;初的名&#38376;望族中像圃&#38544;世家&#36825;&#26679;&#21382;&#32463;多次浮&#27785;的不多&#35265;. 圃&#38544;殉&#33410;以后, &#32463;&#21382;&#36807;世祖&#26102;期&#37073;保的&#24808;&#31096;, 成宗&#26102;期&#37073;允&#36126;的&#24808;&#31096;之后&#23613;管&#21382;代王不&#26029;加恩施惠,但是高&#20029;末期圃&#38544;世家的盛&#20917;一去不&#22797;返了. 自&#20174;朝&#40092;太宗&#26102;期&#20026;圃&#38544;伸&#20900;, &#24182;使之受到推崇之后到朝&#40092;末期,圃&#38544;世家的奉祀&#23385;&#23649;次受到復&#25143;和祿用的恩惠. &#32899;宗在位期&#38388;受到李廷&#40863;, 宋&#26102;烈的特&#21035;照&#39038;不&#20165;奉祀&#23385;得以&#24405;用,&#23545;推崇圃&#38544;思想也起到推&#36827;作用. 端宗復位同&#26102;&#23545;&#37073;保追&#36192;李朝&#21442;&#35758;的名&#21495;. 使得圃&#38544;和雪谷的忠&#33410;思想被重点突出一再&#31216;&#39042;. 忠烈&#20070;院的建立, 圃&#38544;影堂的重建等也都是在&#36825;&#20010;&#26102;期完成. 端宗在位期&#38388;的特&#21035;&#20248;待&#35753;16世&#32426;勉强&#32500;持着武官&#32844;的迎日&#37073;氏圃&#38544;公派家&#38376;到了17世&#32426;出了&#35768;多有名望的人物. 但是世家的奉祀&#23385;中&#24182;&#27809;有出有名望的人物. 原因是圃&#38544;世家&#20174;第11代的世&#23385;&#37073;纘光到第22代的世&#23385;&#37073;&#20041;烈&#36825;13代曾&#32463;6次入系, &#23548;致奉祀&#23385;&#32487;承上的不幸. 圃&#38544;世家的通婚&#20851;系在朝&#40092;前期是反映了圃&#38544;的名望. 后期&#21017;&#26174;&#29616;出了寒微家&#38376;的&#27809;落&#29616;象. 圃&#38544;的&#38271;男&#37073;宗&#35802;和王室通婚. &#36825;&#31181;通婚在&#24403;&#26102;也是迎日&#37073;氏圃&#38544;公派最大的盛&#21183;. &#23385;子&#37073;保&#32500;持着和&#24403;代名&#38376;望族通婚的位相. 圃&#38544;宗派世家和竹山朴氏, &#24198;州李氏, 昌寧成氏,全&#20041;李氏, 淸州&#38889;氏等家&#38376;通婚. 其中在龍仁地&#21306;居住&#24182;相互影&#21709;的家&#38376;有竹山朴氏, 龍仁李氏, 延安李氏, &#39034;&#20852;安氏, &#27721;&#38451;&#36213;氏等. 特&#21035;是和延安李氏的通婚使得其得以&#25166;根慕&#36132;面陵院里世代居住, &#24182;深受影&#21709;. 朝&#40092;后期和恩津宋氏的通婚&#20851;系更是令人&#30633;目. 圃&#38544;世家奉祀&#23385;的居住地&#20174;朝&#40092;建&#22269;以&#26469;到末期一直在&#27721;&#38451;都城&#20869;. 世祖&#26102;期&#23385;&#36744;&#37073;保在遭受&#24808;&#31096;之前在中部&#22362;平坊居住. &#37073;保&#21457;生&#24808;&#31096;之后圃&#38544;宗宅被&#27809;收, &#38271;子允&#36126;和三子允&#23485;在&#37073;保的謫所丹城文泰村一起居住. &#37073;保去世以后&#38271;子&#36126;&#20026;了祭祀先祖搬到龍仁居住, 第五代世&#23385;&#37073;熹又重新搬回&#27721;&#38451;都城. 有&#35760;&#24405;&#26174;示第代7世&#23385;震在&#27721;城的南部樂善坊居住, 由此&#37073;熹-&#37073;世健父子在樂善坊居住的可能性&#24456;高. 第8代世&#23385;&#37073;膺善ㆍ&#37073;明善ㆍ&#37073;&#20174;善也都是在樂善坊里出生. 之后的子&#23385;&#37073;儁-&#37073;云翰-&#37073;元徵-纘光也都是在樂善坊出生&#24182;居住于此. 1679年(&#32899;宗5)由閔鼎重建&#35758;下在&#40665;寺洞建立祠堂&#24182;且&#24405;用圃&#38544;子&#23385;. 1706年(&#32899;宗32)圃&#38544;的奉祀&#23385;&#38224;把祠堂和影堂搬到&#22774;洞. 直至19世&#32426;有圃&#38544;世家在&#27721;城居住的&#35777;据. 1865年&#37073;奎和第一次搬入慕&#21439;面陵院里居住.

【국문초록】

1. 서언

2. 포은종가의 계승

3. 포은종가의 세거지

4. 결언

<참고문헌>

中文摘要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