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본 연구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 전달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서의 정보화가 복지분야에서 갖는 특성과 의미를 살펴보고, 복지정보화의 발전단계를 구상해 본 뒤 단계모형에 입각하여 현재의 우리나라 복지서비스 정보화의 수준은 어떠하며 향후 어떤 모습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인가를 논의한다. 현재의 수준을 진단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복지서비스 제공자이면서 복지정보화의 이용자인 지방자치 단체 복지분야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심층조사를 실시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복지정보화의 현재 수준은 5단계 모형 중 종합적으로 2단계를 지나 3단계에 진입하고 있으며, 향후 3단계와 4단계를 거쳐 미래 바람직한 상태인 '맞춤형 서비스전달' 단계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복지서비스 관련 부처간 및 기관간 통합, 서비스의 온라인 신청이나 제공, 단일창구를 통한 복지서비스 신청, 개인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 개인특성을 고려한 사례관리시스템, 민간시설과의 연계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복지정보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론 및 분석틀
Ⅳ. 분석결과
Ⅴ. 결론
▣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