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면산 산사태 발생 지점의 지형분석
Topographic Analysis of Landslides in Umyeonsan
- 한국측량학회
- 한국측량학회지
- 한국측량학회지 제32권 제1호
-
2014.0255 - 62 (7 pages)
- 137

본 연구에서는 2011년 우면산 산사태 지역에 대한 현장조사를 수행하여 발생지점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산사태 발생 전후의 항공사진과 항공LiDAR DEM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지형인자들에 대한 단위면적당 발생빈도를 분석하였다. 경사도는 Neighborhood 알고리즘과 Maximum Slope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비교하였으며, 경사방향, 고도뿐만 아니라 최대경사방향의 곡률과 그 수직인 면에 대한 곡률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최대경사방향 경사도 40°-45° 구간이 상대적으로 매우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경사방향에 수직으로 오목한 사면이 더 위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landslides area which occurred in Umyeonsan in 2011 and collected landslide location data. Using this field data with aerial photos and LiDAR data which is obtained before and after disaster event, we analyzed the landslide occurrence frequency per unit area about various topographic characteristics. In case of slope, we compared two kind of slopes which are calculated with Neighborhood algorithm and maximum slope algorithm. Also we used aspect, elevation, profile curvature and planform curvature in topographic analysis of landslide occurrence locations. As a result, the region of which maximum slope is 40°-45° is relatively hazardous in landslide. If the perpendicular surface to the direction of the maximum slope is concave, it is more hazardous than other case.
Abstract
초록
1. 서론
2. 연구 자료 수집
3. 산사태 발생 지점의 지형분석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