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2509.jpg
학술저널

대원제국의 탐라지배와 문화적 영향

Yeke Mongghol Ulus's Tamra Domination Culture & Cultural Effect

  • 584

고려시대 130여년의 대원제국(몽골)지배는 우리나라에 다양한 방면에서 여러 가지 영향을 끼쳤으며, 특히 제주(탐라)에 끼친 영향력은 막대했음에도 몽골지배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이 방면의 심층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는 13세기 대원제국의 탐라지배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탐라에 미친 주요 시사점을 사회문화적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내용은 당시 대원제국은 탐라를 어떻게 보고, 통치하였으며, 그 영향이 탐라 등 제 방면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특히 제주(耽羅)의 사회문화적 특성에 영향을 미쳤던 요인은 무엇인가 등을 분석하였다. 대원제국은 탐라를 여,몽연합군의 일본정벌진행을 '육사'에 따른 군수물자 조달과 탐라의 전함(戰艦)과 전마(戰馬) 구조 중심으로 운영하였으며, 지배체제는 탐라총관부의 다루가치 파견과 현지인 총관 임용을 중심으로 잠치와 수역 등의 제도화, 현지인 속관을 임용 활용하는 구조였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몽골인들의 탐라에 이주하여 그들의 문화이입이 전개된다. 군이 이동하면 문화가 이동한다. 따라서 전쟁과 군사이동, 대원제국 지배가 피지배 지역에 미친 사회문화적 영향은 주로 육식문화와 탕문화 유입, 포 등의 음식과 마구, 도살법 등 토착화 사례를 탐라의 경제, 사회, 음식문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The article consists of five sections. The first section clarifies research questions, the 0purpose of study and methodology about Yeke Mongghol Ulus's Tamra domination culture & cultural effect in 13 century. The second section deals with methods of study, literature review,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Yeke Mongghol Ulus's Tamra domination culture & cultural effect in 13 century. The analytical variables of a characteristic of Mongolia domination culture, Pax Mongolica, Five duties, Darugachi & social culture, food culture, so forth. The third section presents analysis variables about Yeke Mongghol Ulus's Tamra domination culture & cultural effect in 13 century. The forth section suggests research effect & limitations of effect analysis of Yeke Mongghol Ulus's Tamra domination culture & cultural effect in 13 century. The last section concluded. There were some suggestion & expectation effect of the study.

국문요약

제1장 들어가는 글

제2장 대원제국의 탐라통치 배경

제3장 대원제국 문화의 특성과 탐라 전래

제4장 대원제국 지배가 탐라사회에 미친 영향

제5장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