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영어읽기전략 사용양상과 전략훈련 수업을 통한 읽기전략의 변화여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2013년 1학기에 서울소재 K대학의 1학년 대학영어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험 전에 읽기전략양상을 설문으로 조사하고, 후에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읽기전략훈련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을 마친 후에는 실험집단 내에서 수업 전후의 읽기전략의 변화를 살펴보고, 전략훈련 수업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사이의 읽기전략 사용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로는 첫째,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전략은 보상전략이고 덜 사용한 것은 기억전략이었다. 둘째, 실험집단에서 영어읽기전략 훈련수업을 실시한 후에 보상전략과 사회적전략에는 빈도수가 감소하였으나, 인지전략, 기억전략, 상위인지전략, 정의적 전략은 모두 증가하였으며, 정의적 전략은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왔다. 마지막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보상전략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5가지 세부전략 모두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많이 사용하는 것이 나타났고, 상위인지전략과 정의적 전략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영어읽기전략 사용양상을 보여주며, 영어읽기전략 훈련을 통해 전략사용에 있어 차이가 나타남을 보여주었다. 추후 이에 대한 더욱 다양하며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college students' use of English reading strategies and the effect of reading strategy discipline. For this purpose, students' use of English reading strategies were examin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to the freshmen in K university. English reading strategy discipline was implemented to the students who took 'College English' class. After the class is over, their use of English reading strategies were also examined. As a result, at first, students use the compensation strategy the most, and the memory strategy the least. After the strategy discipline, students' strategy use increased in cognitive strategy, memory strategy, metacognitive strategy, and affective strategy. The students who belo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used all five strategies except the compensation strategy more often than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tacognitive strategy and affective strategy.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본론
Ⅲ. 연구 질문과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결론 및 교육적 시사점
인용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