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무균성 뇌수막염 환자에서 뇌척수액 내 Interleukine-6, Interleukine-8, Interleukine-10 농도의 증가
Increased Levels of Interleukine-6, Interleukine-8, Interleukine-10 in Cerebrospinal Fluid in Children with Aseptic Meningitis
- 대한소아신경학회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22권 제2호
-
2014.0688 - 94 (6 pages)
- 이용수 72

초록
목적: Cytokine 은 다양한 신경계 염증성 질환들의 발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 무균성 뇌수막염 환자들과 다른 급성 뇌증상을 보이는 환자들 간의 CSF 내Interleukine-6, IL-8, IL-10 의 농도의 차이를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2012년 9월부터 2013년 7월까지 급성 뇌증상으로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소아청소년과에 입원하여 CSF 검사를 시행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냉동 보관된 CSF로 interleukine 검사를 시행하였다. 환자들을 급성 뇌증, 뇌전증, 열성경련, 두통, 영아발열, 무균성 뇌수막염의 6가지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의 임상특징과 검사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87명 환자의CSF 검체를 조사하였다. IL-6, IL-8, IL-10의 농도는 무균성 뇌수막염 환자군에서 다른 질환군보다 대부분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P<0.005). CSF IL-6 (r=0.576, P=0.000), CSF IL-8 (r=0.329, P=0.003), CSF IL-10 (r=0.523, P=0.000) 모두 CSF WBC와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무균성 뇌수막염 환자군 중 CSF 내 enterovirus 양성군(CSF entero+)이 enterovirus 음성군(CSF entero-)에 비하여 IL-6, IL-8, IL-10이 더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으며(P<0.05), 또 CSF entero+와 IL-10 검출 사이에는 의미있는 연관성이 있었다(χ2=6.827, P=0.033). 결론: 무균성 뇌수막염 환자들은 다른 급성 신경계 증상 환자들에 비하여CSF IL-6, IL-8, IL-10의 발현이 더 높았다. 또 enterovirus에 의한 무균성 뇌수막염의 병리기전은 그렇지 않은 무균성 뇌수막염 환자들에 비하여 IL-6, IL-8, IL-10의 발현과 더 많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Cytokines play important roles on the expression of various neuronal inflammatory disease and in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evels of interleukine (IL)-6, IL-8, IL-10 in cerebrospinal fluid (CSF) in children with aseptic meningitis and compare them with those of the patients having other acute neurological symptom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e children who admitted in the pediatric department of Hanyang University Guri Hospital for acute neurological symptoms and had CSF examinations from September 2012 to July 2013. We classified them into six groups as acute encephalopathy, epilepsy, febrile convulsion, headache, infantile fever, and meningitis. We analyzed the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from them. Results: A total of 87 CSFs of the patients were available. The levels of CSF IL-6, IL-8, and IL-10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with aseptic meningitis group as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P<0.05). CSF IL-6 (r=0.576, P=0.000), IL-8 (r=0.329, P=0.003), and IL-10 (r=0.523, P=0.000)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SF White bood cell (WBC) count. Among the patients with aseptic meningitis, CSF enterovirus positive patients (CSF entero+)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IL-6, IL-8, IL-10 levels than CSF enterovirus negative patients (CSF entero-) (P<0.05). In addition, the CSF entero+ and the increase of IL-10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x2=6.827, P=0.033). Conclusion: In patients with aseptic meningitis, the CSF IL-6, IL-8 and IL-10 were more expressed than in other neurological disease group. Among them, the enteroviral meningitis may be more related with IL-6, IL-8 and IL-10 expression than in other causes of aseptic meningitis.
목차
Abstract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요약
References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3)
- 한국형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 (K-ASQ) 발달선별검사의 문항 적절성 평가
- Acute Bilateral Mydriasis and Abducens Nerve Palsy with anti-GQ1b Antibody
- 소아 뇌전증 진단에 부분 수면 박탈 후 시행된 뇌파검사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 장바이러스 수막염 환자에서 뇌척수액 백혈구증가증 유무에 따른 임상양상의 비교
- 소아청소년기 후두 신경통 환자에서 후두 신경 차단의 효과
- Rasmussen 뇌염의 병기별 뇌파 소견
- 악성 혈액 질환 소아들에서 발생한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의 특성
- 급성 지속성 발작 소아환자에서 정맥내 levetiracetam 의 효능과 안전성
- 소아 무균성 뇌수막염 환자에서 뇌척수액 내 Interleukine-6, Interleukine-8, Interleukine-10 농도의 증가
- 결신 발작에서 이차 약제로서 Valproate와 Lamotrigine의 치료 효과
- 소아 난치성 간질중첩증에서 토피라메이트와 리도케인 추가치료의 효능 및 내약성
- Headache Associated with Moyamoya Disease in a Child: Pain Pattern in MRA Progression
- 청소년 근간대 뇌전증에서 발프로인산 하루 한번 투약 용법의 효용성과 안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