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의례적 존재이다. 인간의 출생이 의례로 시작됨은 이를 잘 대변해 주고 있다. 동아시아에서는 특별히 생명의 시작인 출산의례를 매우 중시하였고 이를 통해 생명의식을 고양시켜왔다. 전통적인 출산의례는 단지 출산과정의 의례가 아니라 한 생명의 탄생를 위한 준비과정인 수태와 출산과 양육에 이르는 전 과정을 아우르고 있다. 이점에서 혼인식은 출산의례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실질적인 출산의례는 아이를 갖게 되면서 시작되는 태교로 부터, 태어날 아이의 삶을 예견하는 태몽, 출산과 금기, 아기의 수명을 비는 첫 잔치인 백일, 아기가 장차 할 일을 예견하는 돌잡이, 정상적인 가족 구성원이 되는 세 돌을 맞이하며 끝나게 된다. 태교는 동아시아문화권에서 특별히 중요하게 여기는 태내 아이의 양육방식이다. 태교의 내용을 잘 정리한 책이 사주당 이씨의 『태교신기』이다. 『태교신기』는 여러 전적에서 태교와 관련된 부분을 발췌 인용하여 전통적인 태교의 방법을 요약 서술한 것이다. 태몽이란 아기가 잉태될 조짐을 알려주거나 그 아기의 운명을 예시하는 꿈이다. 태몽은 가족공동체의 염원을 담고 있고 아이를 통하여 태몽이 해석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따라서 한 아이의 출생은 아이를 통하여 드러날 새로운 세계의 탄생을 의미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생명문화는 위기를 맞고 있다. 새 생명이 태어나자마자 기아와 같은 생존의 위기에 처하는 불행 못지않게 쾌락과 충동에 의하여 생겨나 생명의 존엄성을 존중받지 못하고 희생되는 새 생명이 늘어 가고 있다. 새 생명의 상실은 새로운 세계의 상실이며 인간 존엄성 상실이다. 이점에서 출산의례의 회복은 생명의식의 회복의 일환이 될 수 있다.
In many ways human is ritual being. It is very well represented in the rituals related with human birth. In East Asia, it is very important, to start a life by performing birth rituals. The birth rituals are concerned with the consciousness and origin of life. Traditional birth rituals are not just rites of the birth process but it encompasses the entire process from conception to birth and parenting preparation for a conception of life. From the ritual point of view we can regard the marriage as a part of birth ritual. The birth rites are practically include and concerns the prenatal education, the precognitive dreams about the birth of a child, the birth, taboos related to birth, the first one hundred days fest for the child, choosing things by the kids from the table deliberately kept there on the first birthday, and third birthday celebrations for becoming a real member of a family. The prenatal educat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East Asian cultures. A well-organized book on prenatal was the Lady Lee's Prenatal Summary (胎敎新記, 1800). This book has several narrative summary on the traditional prenatal ways well quoted from the Confucian Classics. The precognitive dreams about the birth illustrates the fate of the baby and contains the aspirations of the family of baby. Therefore, the birth of a baby means the new world revealed through the baby. Today, however, the culture of life is growing through many crisis, because of hunger and misery many New lives are getting sacrificed at the time of birth. But more New lives stand on the brink of death because of increasing attitude of enjoyment and impulse. Many number of children are being sacrificed without respect or the dignity of life. The loss of New Life is the loss of the New World, likewise the loss of human dignity. At this point, the rejuvenation the birth rituals can contribute in the recovery of the rituals of life.
1. 서론: 생명의식의 시원
2. 태교의 문화전통
3. 탄생설화와 태몽
4. 새 생명의 출생과 새 세계의 탄생
5. 작명례와 명분
6. 결론: 생명의식의 회복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