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2844.jpg
KCI등재 학술저널

천도교 영성의 드러남과 나눔, 덕(德)과 동덕(同德)

Revealing and Sharing, Virtue and Dongduk(同德, Companion) of Cheondogyo Spirituality: for Restoring Education of Cheondogyo Spirituality

  • 77

본 논문은 천도교의 기성 종교 전통에 대한 사상적 수용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천도교가 창발적으로 해석했던 종교 개념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천도교 고유의 창발적 개념으로 ‘상향적 천인합일’ 사상을 살펴보았다. ‘상향적 천인합일의 의지’, 즉 천도교의 영성은 ‘천(天)의 기화(氣化)’ 개념과 ‘수심정기(守心正氣)’를 통해 고찰하였다. 이어서 천도교 영성이 덕(德)으로 드러남을 살펴보고, 덕(德)은 지기(至氣)를 통한 상향적 합일의 의지로 이해할 수 있는 바, 성(誠), 경(敬), 신(信)의 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천도교의 고유한 영성의 회복은 영성의 나눔인 동덕(同德)을 통하여 이루어짐을 고찰하였다. 이로써 본 논문에서는 천도교 사상가들의 다양한 교육관, 교육목적은 결국 ‘동덕’으로 귀결됨을 강조하였다. 왜냐하면 천도교는 ‘상향적 천인합일’을 위해 ‘수심정기’를 통한 아래로부터의 영성을 강조하고, 신(信), 성(誠), 경(敬)이라는 구체적 수양으로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도 덕을 세우도록[德立] 하는 것이 궁극적 목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천도교의 교육목적 또한 ‘동덕’이며, 천도교 영성 교육의 이상적 인간상은 곧 ‘동덕인’임을 본 논문에서 고찰하였다.

In this paper, it aims to consider religious emergent-concepts of Cheondogyo rather than to focus on ideological acceptance of religious tradition of pre-existing religions. For this purpose, first, the ‘upwarding Unity of Heaven and Man’ is examined as an unique emergent concept of Cheondogyo. Cheondogyo Spirituality so called ‘The will of the upwarding Unity of Heaven and Man’, is considered as concept of ‘Chi-Vaporization(氣化)’ of Heaven and ‘Sushimjeonggi(守心正氣)’. Then it looks in to revealing of Cheondogyo Spirituality followed by ‘Virtue(德)’. The ‘Virtue’ can be understood as ‘the will of the upwarding Unity of Heaven and Man’ so it is viewed in ‘Sincerity(誠)’, ‘Respect(敬)’, and ‘Belief(信)’ separately. Finally, it is investigated that the recovery of spirituality is followed by ‘Dongduk’, sharing of spirituality. Therefore, in this paper it is emphasized on ‘Dongduk’ that produces various educational views and purposes of Cheondogyo thinkers. It is because the ultimate purpose of Cheondogyo lies on establishing Self's ‘Virtue’ with concrete training ‘Belief’, ‘Sincerity’, and ‘Respect’ as well as Other's ‘Virtue’ for ‘the upwarding Unity of Heaven and Man’ from the bottom through ‘Sushimjeonggi’. Therefore, in the study it is considered that the educational purposes of Cheondogyo is ‘Dongduk’, and the ideal humanity of Cheondogyo spirituality education is also ‘Dongduk’ Human.

1. 들어가는 말

2. 천(天)의 역동적인 존재성, 지기(至氣)

3. 천도교 영성의 드러남, 덕(德)

4. 천도교 영성의 나눔, 동덕(同德)

5.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