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출판 현황 분석 연구

Status analysi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s textbooks and related books publishing

  • 2,768
커버이미지 없음

최근, 우리나라의 경제적인 도약이나 기술적인 발전 혹은 문화적 차원의 한류 등에 힘입어 국가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의 여러 대학이나 사설교육기관에서 한국어 교육시설을 설치하여 유학생들을 유치하고 있다. 또 일찍부터 국제결혼을 통한 결혼 이민자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음에 따라, 이들을 대상으로 전국의 각 지역에 산재해 있는 다문화센터에서의 한국어 교육 역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외국인을 위한 본격적인 한국어 교육은 1959년부터 진행되어 왔는데, 한국어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들 중 하나는 교재였다. 한국어 교재는 그 교육목적에 따라 꾸준히 발행되어 왔는데, 한국어 학습자와 교육기관의 증가함에 따라 한국어 교재의 발간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재의 다섯 가지 현황, 즉 한국어 교재 및 관련 서적의 발행 현황, 발행처별 한국어 교재 현황, 대학의 교육기관별 한국어 교재 현황, 한국어교원 양성을 위한 교재 현황, 그리고 한국어능력시험 관련 수험서 현황 등을 살펴보았다. 이 현황들에 대한 분석은 기술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그 빈도를 위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분석의 내용과 그것이 주는 함의를 정리하였다.

Recently, according to the Korea's economical growth, technical development, or Korean wave - the cultural situation in Korea, the number of foreigners who want to learn korean language is increasing now. Some universities and private institutes in Korea have established the facilities for Korean languages and attracted the foreign students. Also, as the number of marriage immigrant people is increasing, most of the multi-cultural centers have various Korean language teaching courses for them.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for foreigners has been practiced officially since 1959, the important thing was the teaching materials.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have been issued for a variety of purposes. As the learners and the institutes are increasing, so the issue of them are in progress. In this research, I have studied on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ids including the situation of issue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related ones, the publish centers for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textbooks in the universities educational centers, the textbooks for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e reference books for the Korean languages test. I have done the analysis on the present condition based on the frequency by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 method. In addition, I have worked the contents and the implication of the analysis.

국문요약

1. 서론

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및 관련 서적 출판의 역사

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및 관련 서적의 분야별 출판 현황분석

4. 분석의 요약과 함의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