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중국에서의 문학한류와 번역현황

Korean Wave of Literature in China and Current Translation Status

  • 852
커버이미지 없음

韓流는 중국언론이 만들어낸 造語로 중국 내 한국 대중문화의 바람, 붐, 열기 혹은 열풍 등을 일컫는 다. 1997년 드라마를 기점으로 대중음악, 영화로 번진 한류열풍이 2002년부터 출판 분야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김하인의 『국화꽃향기』가 2002년 南海출판사에서 『菊花香』으로 번역출간 된 후 김하인의 뒤를 이어 한국의 인터넷 소설인 귀여니의 『늑대의 유혹』과 『그 놈은 멋있었다』가 각각 '2004년 10대 베스트셀러'에 2위와 3위에 오르며, 중국 소설부문 판매량에서도 경이적인 기록을 세웠다. 대중문화에서 출발한 한류와 맞물려 2002년 김하인으로부터 시작된 한국의 대중소설이 중국에 본격적으로 소개된 현상을 문학한류로 지칭하였을 때, 문학한류의 탄력을 이어받아 2005년 崔仁浩의 장편소설 『불새』가 長江文藝出版社와 2만 달러라는 파격적인 저작권료를 받으며 출판계약이 체결되고 2009년부터 2012년까지 孔枝泳의 『봉순이언니』를 비롯해 작품 6권과 申京淑의 『엄마를부탁해』가 중국에서 출간되었다. 중국에서 한국문학은 이제 인터넷이나 드라마 소설, 멜로소설에서 점차 벗어나 순수문학이 대두되면서 문학의 번역이라는 새로운 과제와 한국문학의 세계화에 직면하고 있다. 1968년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雪國』과 1994년 오에 겐자부로의 『만년원년의 풋볼』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일본과 2012년 중국의 현대작가 莫言이 『홍까오량가족』으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하면서 문학의 진정한 세계화를 위해서는 번역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는 점이 더욱 새롭게 부상하고 있다. 문학번역은 특별한 영역이다. 문학번역은 외국어를 모국어처럼 이해하고 번역해내야 하기 때문이 아니라 작가의 진정한 목소리를 찾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어렵다. 아울러 이런 번역가를 찾아내는 것이야말로 문학의 세계화를 앞당길 수 있다. 그렇다면 2005년부터 중국으로 건너간 우리의 순문학은 어떤 환경에서 어떤 번역가를 만나고 있는가? 중국출판협회의 자료와 일선에서 일하는 번역가를 통해 살펴보았을 때, 중국은 현재 번역가의 인력수급 상황의 불균형과 대부분 겸업을 통한 아마추어 번역에 의존하고 있어 번역의 질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아울러 번역가에 대한 처우 역시 열악하며, 문학번역을 위한 번역자 역시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을 개선하고 양질의 번역을 도출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안이 있을 수 있겠으나, 本稿에서는 첫째,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공동 번역자를 선정하여 공동 작업을 하는 일과 둘째, 번역가의 처우 개선을 최우선 실현 방안으로 제시했다.

Literature translation is a special domain. Literature translation is difficult not because foreign language should be understood and translated as if it were a native language but because the real voice of authors should be transferred. In addition, finding such translator can advance the globalization of literature. If that is the case, which environment has our pure literature that crossed into China been in and which translator has it encountered? When investigating it through the materials of the Chinese Publisher's Association and the translators in the front lines, the translation quality cannot be secured because the demand and supply of translators is now in an imbalance in China and most of translation is relying on amateurs who have side jobs. Furthermore, they get also poor remuneration and, as a matter of fact, the number of translators for literature is absolutely insufficient. In order to improve such situation and promote high-quality translations, there can be various solutions, but this article proposed as the first-priority solution; first, to co-work after selecting co-translators whose mother tongue is Korean and, second, to improve the translator's remuneration.

국문요약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