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verse Mortgage of Farming Assets as a Viable Option for Rural Welfare
농촌후생증진을 위한 농가자산연금의 타당성분석과 관리방안
- 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 지역발전연구
- 지역발전연구 제23권 제1호
-
2014.06171 - 191 (20 pages)
- 39

본 연구는 농촌복지향상의 관점에서 농지연금(FP) 개선의 실질적 옵션(viable option) 마련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토대연구로서, 이론적ㆍ정책적으로 새롭게 개발한 농가자산연금(FAP)의 타당성을 기술통계와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분석결과를 토대로 평가하였다. 기술통계와 시뮬레이션 결과는 연금의 대상에 농가자산이 포함될 때 농가의 지급금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정책적) 금융기관은 추가적 헤지(hedge)를 통한 운용의 안정성 증가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농가자산연금의 보완성은 단순한 농촌노인의 복지향상을 넘어 농촌복지(rural welfare)에의 포괄적인 경제적, 정책적 의의를 지닐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현재 증가중인 귀농수요와 역도시화(post-urbanization)에 따라 귀속된 농지를 체계적인 교합ㆍ분합화하고 확보된 농가시설(지) 및 대지 등을 쾌적성(amenities)을 고려하여 개발함으로써 농업ㆍ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농가금융-복지의 "생애자산모델"(lifetime asset model)의 기반으로서 농가자산연금의 현실적 운용방안을 지속적으로 연구한다면, 영농규모화 현실화와 농촌산업경영(agribusiness)을 토대로 농촌경제 활성화의 중요한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valuates the viability of a new method to improve the farmland pension (FP) in Korea so that useful policy implications can be formulated for providing a feasible option for rural elderly welfare. In order to do this, it conducts an analysis of simulated data on the "farming-asset pension"(FAP) as the reverse mortgage of farming assets as a pilot study. The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evaluates its economic feasibility and discusses analytically derived policy directions for post-urbanization welfare improvement especially for the rural elderly. If this new model continues to turn out viable for alleviating the "aging" rural elderly's poverty in changing rural and policy environments, the handed-over land in the near future can also be systematically divided and integrated for large-scale production. Through this procedural innovation, "aging" rural economies can then be revitalized with the FAP as an integrative system of gradually helping (urban to) rural immigrants settle down (in amenable rural communities) and participate in agribusinesses in this age of "post-urbanization."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THE "FP" AND ITS BASIC MODEL
Ⅲ. THE ACTUARIAL MODEL OF THE "FAP"
Ⅳ. DATA AND ANALYSIS
Ⅴ. DISCUSSION ON THE ANALYTICAL RESULTS
Ⅵ. CONCLUSION AND A PATH TOWARD THE FAP MANAGEMENT SYSTEMS
REFERENCES
국문초록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