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介在要素無しタイプの動詞結合の格支配

Case Control of Verb combination with none of medium morpheme -With a Focus on korean-

  • 4
112847.jpg

본 논문은 지금까지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던 한국어 개재요소가 없는 동사결합을 대상으로 하여 그 통어적 측면을 고찰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일본어 예를 분석한 야마모토(1983, 1984, 1992)를 참고하여 한국어 개재요소가 없는 동사결합의 격지배에 대해 분석, 그 결과로써 일본어 개재요소가 없는 동사결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국어 개재요소가 없는 동사결합의 경우에도 격지배 4유형의 예가 모두 관찰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석 과정에서 ①일반적으로 결합가가 동일한 것끼리 결합하지만, 결합가가 다른 것끼리의 결합도 가능하다는 점, ②동일 형태의 동사결합이더라도 공기하는 명사구의 차이에 의해 격지배 유형이 다를 수 있다는 점, ③동일 형태의 동사결합에 복수의 격체제가 인정되는 경우, 격지배 유형도 복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는 점도 함께 지적하였다. 일견 당연한 듯 보이지만, 이 세 가지 지적을 명시한 선행연구는 보이지 않고, 특히, ②와 ③의 지적에 대해서는 분석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과 같이 격지배 4유형의 모든 예를 명시함으로써 한국어 개재요소가 없는 타입의 동사결합이 '도외시해도 좋은 대상' 이 아니라 한일 동사결합의 한 종류로서 '여러 가지 분석이 충분히 가능한 대상' 임을 시사할 수 있었다는 점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향후 더욱 세심한 관찰과 분석을 통해서 한일 동사결합의 본질을 해명해 나갈 예정이다.

동사결합, 개재요소, 격지배, 결합가, 격성분, 격체제 動詞結合, 介在要素, 格支配, 結合価, 格成分, 格体制

1. はじめに

2. 考察の前提

3. 介在要素無しタイプの動詞結合の格支配

4. まとめ

参考文献

국문요약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