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3262.jpg
KCI등재 학술저널

재가 치매노인의 길찾기(Way-finding)와 배회(Wandering)와의 관계

Correlation of Way-finding and Wandering in Korean Elders with Dementia at Home

  • 484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목적은 재가 치매노인의 길찾기 효율성과 배회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편의추출법에 의해 전국 7개 중소도시 및 대도시에서 가정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이며 한국판 간이형 정신상태 검사도구 (K-MMSE) 점수가 24점 이하의 기준을 가진 치매노인과 만 18세 이상으로 집에서 노인을 돌보는 일차적인 가족 수발자 84명이었으며, 설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K-MMSE와 ADL, IADL, 그리고 연구팀에 의해 번역과 역번역이 실시된 한국판 길찾기 효율성 도구 (KWES)와 한국판 지역사회용 배회 척도 (KRAWS-CV)이었다. 자료 분석은 서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여 치매노인의 일반적 특성, 인지기능 및 신체기능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길찾기 효율성과 배회행동을 알아보며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신체기능을 통제한 상태에서 총 길찾기 효율성 도구점수와 총 배회 척도의 점수와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길찾기 도구의 4개 하부영역과 배회 도구의 6개 영역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길찾기의 '단순목적지 길찾기'와 '포괄적 전략'의 점수가 낮을수록 배회의 '이탈행동'과 '공간적 방향상실'의 점수가 높았다. 길찾기의 '분석적 전략'은 배회 도구의 모든 하부영역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으로, 길찾기 능력과 배회는 같은 개념이라기보다 서로 관련이 있는 개념이며, 추후 각 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찾아서 한국의 실정에 맞는 재가노인을 위한 배회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wandering and way-finding, especially what particular way-finding decrements are linked to specific dimensions of wandering in a community dwelling elders with dementia in Korea. A total of 84 community dwelling elders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y caregivers were participated. Data were collected using interview with family caregivers. Wandering was measured using Korean Revised Algase Wandering Scale - Community Version (KRAWS-CV) along with its six dimensions: Persistent Walking, Repetitive Walking, Spatial Disorientation, Eloping Behavior, Negative Outcomes, and Mealtime Impulsivity. Way-finding was measured using Korean way-finding Effectiveness Scale (KWES) with four subscales (Complex Way-finding Goals, Analytic Strategies, Global Strategies, and Simple Way-finding Goals). Correlational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RAWS-CV subscales scores and the KWES subscales scores, controlling K-MMSE, PADL, and IADL. Overall, the KRAWS-CV and the KWES correlated at -.35 (p < .01). At the level of subscales, the all KRAWS-CV subscal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KWES subscales except AS (r = .65 to -.22). The SD had the highest correlation of any KRAWS-CV subscales with the overall KWES (r = -.66). These findings support the assertion that particular wayfinding deficits are a potential explanation for specific dimensions of wandering.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