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에서의 고전문학 작품 비교 연구
A Competitive Study on Teaching Classical Literature Works between for Korean Natives and for Korean Learners -focusing on traditional fairy tales-
- 한국고전연구학회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 제27권
-
2013.06113 - 139 (26 pages)
- 1,015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의 고전 문학을 효율적으로 교육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고전 문학 작품의 학습 목표 및 교육 내용에 대해 살피고, 국어 교육에서의 고전 문학을 교육을 한국어 교육에 적절히 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한국어 학습자들도 (중ㆍ고급) 수준을 넘어가면 한국인의 인식 세계와 사회 문화를 이해해야 한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의 (전통) 문화를 알아야 한다면 이는 내국인의 한국 전통 문화를 공부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내국인의 일반적으로 알고 있을 문학 작품은 초등 교육에서 학습했을 것이라는 전제 하에 초등 국어 교과서와 한국어 교재의 고전 문학 작품을 비교하였다. 먼저 국어과 교육 과정의 목표와 일반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표를 검토하고,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와 대표 한국어 교재의 고전 문학 작품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언어 교육과 문화 교육의 관계성 정도에 따라 학습 목표가 달리 적용되었다는 점에서는 공통되었으나 목표 수행을 위한 연습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국어 교육에서의 고전 문학 작품의 목표는 기초 언어 능력 향상에서 점차 문화적 정서를 성취하는 것으로 변화한 반면, 한국어 교육에서의 그것은 등급에 관계없이 특정 언어 기능 수행을 주된 목표로 삼았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도 상급 단계에서는 문학 작품의 가치를 해석하고 의의를 찾아보는 연습 활동을 보완하여 한국인의 문화와 문학에 접근하는 교육 목표를 달성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a teaching method for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ork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for foreigners. To do this, there is a review of classical works and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 of them to be educated in Korean Teaching as Foreign Language (KFL). Then, there is something to find how classical works education for the natives can be applied for KFL. After Korean learners are up to the intermediate and high level, they have to understand Korean recognition world and Korean society culture. If Korean traditional culture is contained in the thing Korean learners acquire, there is no difference from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Korean natives. Hence, this study started in the assumption that the literature works what the natives have known was taught at elementary school and then compared with works in materials between Korean for the natives and Korean for the foreigners. Consequently, making objectives of teachingㆍlearning is decided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of language and culture teachingㆍlearning. However, that activity for performance is different between Korean for the natives and Korean for the foreigners. In curriculum, the objective is changed from means for taking basic language ability Korean to getting culture for the natives, whereas the objective is for taking language ability Korean for the foreigners. On this wise, two things are supplied; one is activities for finding and comprehending the value of literature works on higher level. There is changing the objective from means for taking basic language ability Korean to getting culture.
<국문초록>
1. 서론
2.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학 교육
3. 한국어 교육과 국어 교육에서의 고전 문학 교육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