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흥글소리>에 대한 一考

A Study on Honggeulsori: focusing on self-exploratory attitude represented through lamentation

  • 444
113384.jpg

이 논의는 <흥글소리>에 나타난 탄식의 양상을 통해 포착되는 여성의식- 딸로서의 정체성과 의존의식, 유년에 대한 기억과 소외의식, 불행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자의식-을 추출함으로써 <흥글소리>가 노정하고 있는 자기탐색적 태도와 그 의미를 구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흥글소리>를 통해 반복되고 있는 탄식은 친정부모와의 정서적 소통이 결핍된 상태에서 출발한다. 이 노래 속 탄식은 가부장제 사회에 귀속된 나이 어린 평민 혹은 하층민 여성의 원치 않는 결혼-친정어머니로부터 분리되어 낯선 환경으로 시집가는 사건-으로부터 시작한다. 유년시절 가지고 있었던 친정어머니에 대한 정서적 의존의식은 결혼이라는 사건을 겪으면서 고립과 단절을 경험하게 만든다. 이 고립과 단절의 시공간에서 여성은 소외의식을 갖게 된다. 동시에 이러한 불행한 현실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강력한 자의식을 말하고 있다. <흥글소리>는 탄식의 말을 반복하고 확장하면서 회복해야 할 본래의 자기 삶, 전복해야 할 현실을 전달하고 있다. 탄식을 통해서 회복해야 할 삶을 촉구했다. <흥글소리>를 통해 노정되는 여성의식은 자기탐색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이 탐색적 태도야말로 자기 삶의 지향성을 모색하고자 했던 자각이자 자기회복의 치유적 욕망을 잘 말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pects of lamentation in Honggeulsori in an attempt to shed light on this song's female consciousness - identity as a daughter, a sense of dependence, memory from childhood, a sense of alienation and self-consciousness(pursuing getting out of unhappy life). It's ultimately meant to define the self-exploratory attitude of this song and its meaning. This song's repeated lamentation was rooted in lack of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parents. That resulted from the young commoner of the lower classes' unwanted marriage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being separated from her mother and going to the strange husband's home). She was emotionally dependent on her mother in childhood, and the incident of marriage forced her to undergo isolation and cutoff. She got to have a sense of alienation in the isolated space, and she got to have a strong self-consciousness and eventually wanted to get out of such a tough reality at the same time. Honggeulsori repeatedly described and reinforced the words of lamentation and thereby represented that she should pursue her own real life and overcome the reality. This song urged her to lead her own life by emphasizing her lamentation. This song's female consciousness could be defined as a self-exploratory attitude, and this self-exploratory attitude could be said as self-awakening of what she should pursue in her life and shows her desire for healing and self-recovery.

<국문초록>

1. <흥글소리>에 주목하는 이유

2. <흥글소리>에 나타난 탄식의 양상

3. <흥글소리>에 나타난 탄식을 통해 본 여성의식

4. <흥글소리>의 자기탐색적 태도와 그 의미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