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서ㆍ관북 지역의 인문지리학적 의의와 문학
The Human-Geographical Importance of GwanseoㆍGwanbuk Area and its Literature
- 한국고전연구학회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 제24권
-
2011.125 - 30 (25 pages)
- 671

국토산하는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만이 아니라 면면히 이어 내려온 민족사의 무대로서의 역사미(歷史美)를 지니고 있다. 근대 이전의 고전 작가들은 국토 산하의 풍경이 인간 주체의 활동에 의해 형성되고 변화된다는 사실을 일찍부터 인식하고, 산하의 자연미와 역사미를 노래하면서 자신의 주체를 반성하고 자신의 삶을 가꾸었다. 그런데 함경도와 평안도는 고려사와 조선사에서 늘 변경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성계가 정도전에게 함경도에 산재한 능들을 조사시키면서 그 지역의 경역과 읍성들을 정리하도록 했는데, 이것이 함경도의 적극적인 개발을 추동케 한 시작이었다. 이후 세종은 김종서를 보내 4진을 개척했고, 두만강을 국경으로 확정했다. 이후 조선 조정은 1413년에 우리 국토를 경기ㆍ충청ㆍ전라ㆍ경상ㆍ강원ㆍ황해ㆍ평안ㆍ함경도의 8도로 구획했고, 이 조선팔도라는 국토관은 현재까지 우리 민족의 통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는 정치적인 이유 때문에 강원도의 일부, 황해ㆍ평안ㆍ함경도를 자유롭게 왕래하지 못한다. 함경도와 평안도에 관련된 시문을 읽는다는 것은 민족 화해의 인문학적 성찰을 부추긴다. 만일 민족 공동의 의식을 추동시키고자 한다면 팔도의 관념을 회복시킬 필요가 있다. 그 방법으로는 근대 이전의 고전문학에서 팔도를 인식한 방식을 이해하고 그 통일된 국토 관념을 환기하는 것도 하나의 유력한 방법이 될 것이다.
Each land has its own historical beauty as well as its natural beauty, as a stage of history which has continued on without ceasing until now. Writers of pre-modern period noticed the fact that the landscape of their country was built up and changed by activities of man, and they composed poems and proses praising its natural and historical beauty. Hamgyeong-do(province) and Pyeongan-do has been recognized as outlying districts in the history of Goryeo and Joseon. Yi Seonggye commanded to readjust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Hamgyeong-do when he ordered Jeong Dojeon to investigate tombs there and it caused its development in earnist. Since then, Sejong dispatched Gim Jongseo to found 6 military camps, and established the border. Henceforth, Royal Court of Joseon readjusted the division of land as to be Pal-do(8 provinces)-GyeonggiㆍChungcheongㆍJeonraㆍGyeongsangㆍGangwonㆍHwanghaeㆍPyeonganㆍHamgyeong, and this viewpoint of Pal-do became common sense of common people in Joseon. However, now it is impossible to come and go HwanghaeㆍPyeonganㆍHamgyeong and a part of Gangwon for political reasons. Lines and pharases concerning Pyeongan-do and Hamgyeong-do lead us to take time for reflection on national reconciliation. It is needed to restore the idea of Pal-do, if one wants to arouse national consciousness, and for that it will also be a way to understand the way Pal-do understood in the literature of pre-modern period and to meditate on the traditional idea on the territory.
<국문초록>
1. 머리말
2. 함경도의 지리풍토와 문학
3. 평안도의 지리풍토와 문학
4.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