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관서ㆍ관북 지역의 시가 향유 양상

A Study on the Aspects of Enjoyment of Siga at Kwanseo and Kwanbuk Area in Chosun Dynasty

  • 572
113385.jpg

관서와 관북 지역의 시가 향유를 살필 때 지역성을 중심에 두고, 담당층, 통시성이 아울러 논의될 수 있다. 한편 갈래 사이의 연관에 대한 검토도 중요한 과제로 제기된다. 2장과 3장에서 두 지역을 대비하면서 통시적인 측면에서 추이를 점검하였다. 관북 지역에서는 풍패의 자긍심과 <용비어천가> 전송, 무변 풍류의 양상과 기녀들의 역할, <철령가>의 파급과 또 다른 내면, 관북의 여정 소개와 그 반향, 현장의 삶과 관심의 추이, 유배 체험의 여러 양상 등을 살피고, 관서 지역에서는 백성 교화를 위한 재관인의 노력, 관서 여정 소개와 경승에 대한 관심, 조천ㆍ연행의 노정과 풍류의 반향, 역사적 사건에 대한 반응, 서도잡가의 전승 양상과 그 변이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이들 지역의 시가 향유가 지닌 의미를 통합적으로 검토하면서, 창작층과 향유층의 문제와 시가의 범주, 시가 전승의 주체와 매개, 조선 후기 시가 향유에서 관서ㆍ관북 무반의 연관 등을 검토하였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ummarize the aspects of enjoyment of poems and songs at Kwanseo(關西) and Kwanbuk(關北) area in Chosun Dynasty. We are able to set up three category in research for the Siga of Kwanseo and Kwanbuk, namely regional characteristics, class in charge, and the diachronic characteristics. In chapter Ⅱ, We are able to summarize Kwanbuk Siga, 1) being proud of birth place of King and <Frying dragon songs>, 2) refinement of soldiers and kisaeng, 3) spread of <Cheollyungga(鐵嶺歌)>, 4) itinerary of Kwan- buk, 5) lives of field, and 6) lived experience of exile. In chapter Ⅲ, We are able to summarize Kwanseo Siga, 1) enlightenment of people, 2) itinerary of Kwanseo, 3) itinerary of Beijing(北京) and refine- ment, 4) response to historical affairs, and 5) Seodojabga(西道雜歌). In chapter Ⅳ, We are able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class and enjoying class, 1) local resident and stranger, 2) main group and mediator of transmission, and 3) movement of class in charge in late Chosun Dynasty, especially soldier and kisaeng.

<국문초록>

1. 서언

2. 관북 지역 시가 향유의 성격

3. 관서 지역 시가 향유의 특성

4. 관서ㆍ관북 지역 시가 향유의 의미

5. 소결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