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화가의 자작 제화시와 화면상의 이미지의 재산출 방향(2)

The Painter's Poems about his own Pictures and the Direction of Reproducing the Poetic Image from the Pictorial Image(2) -With reference to "Chil Tan Pavilion sixteen Poems"-

  • 452
113385.jpg

이 글은 앞서의 논의에서 다루지 못한, 강세황의 <칠탄정십육경> 시 16수 중의 9수를 대상으로 하여 강세황이 자신의 그림을 시적 대상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화면상의 이미지를 보완하는 방향과 화면상의 이미지를 대체하는 방향으로 시 작품들을 지은 이유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강세황의 <칠탄정십육경> 16수 중에서 부분적으로건 전체적으로건 화면상의 풍경과 차이를 보이는 시 작품은 모두 9수이다. 이 중에서 그림의 표제상에는 제시되어 있지만, 화면의 속성 때문에 화면상에 드러낼 수 없는 것을 시적 진술을 통해 제시한 작품은 모두 7수이다. 나머지 2수는 표제상에 제시된 것이 비록 화면상에 반영되어 있긴 하지만, 그것만으로 부족해서 시적 진술을 통해 더욱 부각시킨 작품들이다. 이러한 점에서 화가이자 시인인 강세황이 그림이라는 매체의 속성 때문에 화면상에서 다 표현하지 못한 것을 시라는 매체의 특성을 활용하여 표현하려고 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look at why the poet reproduced the poetic images by complementing the pictorial images and replacing the pictorial images with poetic images, when he sang his own pictures in poems. So, in this paper, the nine poems among Kang, Se-hwang(姜世晃)'s "Chil Tan Pavilion sixteen poems(七灘亭十六景詩)", which have not been analyzed in the previous papers, are studied. And it is confirmed that Kang, Se-hwang, who was a painter and poet, would expressed entirely what have not been yet expressed in the picture for the property of painting with taking advantage of the property of poetry.

<국문초록>

1. 서언

2. 강세황의 <칠탄정십육경> 시와 화면상의 이미지의 보완

3. 강세황의 <칠탄정십육경> 시와 화면상의 이미지의 대체

4. 결언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