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한국고전문학교육의 과제

Teaching Korean Premodern Literature as a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 540
113388.jpg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고전문학교육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학학부 교육의 정체성과 교양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학부 교육을 직업교육으로 보거나, 대학원 교육의 예비 단계로 보거나, 교양교육을 학부 전공교육의 기초단계로 볼 경우 교양교육의 정체성을 확보되지 않는다. 아울러 기본적으로 교양교육인 고등학교 교육과의 연계성과 차별성을 추구하지 않는다면 역시 대학 교양교육의 정체성 구현은 물론 수월성도 이룰 수 없게 된다. 대학 교양교육이 미래 사회와 세계의 다양한 변화에 합리적이고도 창의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간을 길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고전문학교육 역시 주체성을 가지고 삶과 세계의 다양한과제를 지적으로 세련되게 해결하는 능력과 타자를 존중하고 타자와 공존하는 태도를 갖추도록 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민족문학의 고전(古典)과 정전(正典)을 확립하는 과제를 수행해야 하며, 실제 교육에서는 고전문학을인류 보편성의 차원에서 접근하는 방식이 요청된다. 아울러 대학 교양교육으로서고전문학교육의 목표로 학습자로 하여금 깨닫는 즐거움을 체험케 하여 장기적으로는 전통문화 향유를 주도하는 시민문화를 형성하는 것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Teaching Korean premodern literature as a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has several tasks as follows : 1. To select classics and canons from Korean premodern works. There are lots of premodern literary works but only several works are recognized as classics or canons. 2. To provide topics and develop them to the universal level. Research into Korean literature has been oriented toward nationalism, so teaching Korean premodern literature as a general education should go beyond the horizon of nationalism and reach the universal sphere. 3. To contribute toward the formation of the cultured circles. Eighty percent of high school students go on to college, so teaching classics can make contribution to form well-educated classes to lead the culture of civil society. 4. To write in Korean the results of analysis, comparison, assessment,and argument on the topics from the classics or canons. Writing in Korean in the Korean academic circles has the historical task to develop Korean as an academic language. If students could derive ideas from works written in everyday language and conceptualize them, then students can contribute to develop Korean as an academic language.

<국문초록>

1. 머리말

2. 대학 교양교육의 위상과 고전문학교육

3. 대학 교양교육 과목으로서의 한국고전문학교육의 과제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