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양으로서의 한문교육과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s University's Liberal Arts and Chinese Characters's Cultural Area of East Asia
- 한국고전연구학회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 제22권
-
2010.1231 - 54 (23 pages)
- 557

본고는 한국고전연구학회가 주최한 <고전문학과 대학 교양 교육 : 고전문학 교양 과목 개발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발표되었으며, 그 중 한문학 분야에 주목한것이다. 대학의 교양 교육은 근대 서구 학문 체계의 수용과 역사를 함께 하였고,고전문학 역시 국문학의 교양 과목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 점에서 한문학은 문학이라는 관점에서 비슷한 과정을 거쳤으리라 여겨지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먼저 2천년 역사를 축적한 한문학은 근대 국민국가 수립을위한 자국어의 위상 강화로 폐기되었다가, 1960년대 후반 한문학 유산에의 관심과함께 70년대 초반 대학에 한문교육과가 개설되면서 한문교과 교육이 이루어졌고,대학 교양으로서의 자리도 잡힐 수 있었다. 또한 한문학에는, 단순히 한문을 표기수단으로 삼은 문학에 그치지 않고, '문(文)ㆍ사(史)ㆍ철(哲)'로 통칭되는 인문학적 위상을 지닌다는 특성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한문학의 특성은 경세(經世)의문장으로 문학을 숙성시킨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의미망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기도 하다. 더구나 대학 교양 과목으로서의 한문 교육은 식민지, 한국전쟁, 군부정권, 민주화, 신자유주의의 과정에서 그 특성과 의미망이 고려될 수 있는 기회를 제대로 갖지 못하였다. 이 점에서 교양이 인간의 상호 이해를 위한 의사소통 수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면, 이제 한문학은 문ㆍ사ㆍ철을 포괄한 동아시아 인문으로 재인식되어야 함과 동시에 한문학을 비롯한 대학 교양으로서의 고전문학에 대한 진솔한 고민이 경주될 필요성이 요청된다.
This article was made public with the theme of <Classical Literature and university's liberal arts education: Focusing on development of classical literature's liberal arts courses> sponsored by the Korea Society of Classical Studies and was paid attention to the Chinese literature field among them. The history of liberal arts education of universities gets together with the acceptance of Modern Western learning systems and the classical literature also became to settle down as a liberal arts course of Korean literature. In this point, although it is regarded that Chinese literature would go through a similar process in a viewpoint of literature, the reality is not like that. First, Chinese literature with the history of two thousand years was disposed due to strengthening of a phase of its own language for establishment of a modern national state, but while the department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was established at universities in the early half of 1970s with the interest of Chinese literature's heritage in the latter half of 1960s, the education of a Sino-Korean subject was carried out and could be also settled down as university's liberal arts. In addition, Chinese literature has characteristics keeping a phase of humanities called as "literatureㆍhistoryㆍphilosophy" without stopping as literature that simply used Chinese characters as notation means. It means that characteristics of Chinese literature like this should together consider a semantic network called Chinese characters's cultural area of East Asia matured with the sentence of statecraft. In addition,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s university's liberal arts didn't properly get an opportunity capable of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and a semantic network while going through a process of colony, the Korean War, Juntas, democratization and neoliberalism. At this time, people have a new understanding that liberal arts capable of being defined as communication means for mutu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re Chinese literature as humanities of East Asia including "literatureㆍhistoryㆍphilosophy" and need to devote ourselves to frank worries and efforts on classical literature as university's liberal arts in addition to Chinese literature from now on.
<국문초록>
1. 왜 다시 대학 교양 교육인가?
2. 대학 교양과 교양으로서의 한문학의 위치
3. 동아시아 문화권과 한문학
4. 교양교육으로서 한문교육의 가능성 -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