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고전시가에 나타난 '비'의 실상과 그 의미

The reality and the meaning of 'Rain' shown in Classical Shiga -Focusing on Shijo

  • 801
113387.jpg

비가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동서양을 막론하고 공평히 내린다는 측면에서 우리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나 우리의 인식과 정서도 서양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비를 표상해내는 문학적 관습과 그를 인식하는 기저는 동양과 서양이 다를 것이다. 한국고전시가에 나타나는 비의 실상과 그 내포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은 미약하게나마 우리 문학에 나타나는 비의 개별적 특성을 구분해 내는 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에서 비롯된다. 문학에 드러난 소재에 대한 개별적 연구는 문학용어 혹은 문화상징에 대한 이해를 마련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된다. 본고에서는 위의 논의에 바탕하여 본래적인 자연 원리로서 작용하는 비와 서정적 인간 감정이 덧씌워진 정서의 투영물로서의 비로 구분하고 시조에 드러나는 비의 실상과 그 의미를 분석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비는 첫째, 객관적 자연원리(기후요소, 계절의 지표, 소멸과 정화의 촉매)로 기능하며 둘째, 개인적 서정의 울림(눈물의 은유, 감상(感傷)의 대리물, 고난ㆍ시련과 장애물, 그리고 풍류와 흥취의 보조물)으로 표상된다. '비'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와 그 기능에 대한 논의가 현대 대중가요에까지 유효하다면 그래서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공통분모와 차별점을 찾을 수 있다면 소재론적 연구는 그 문학적 소통이라는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고리가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소재론적 접근이 연구의 기본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Rain comes fairly from past to present, from east to west, so effect from it and our cognition and feelings are not much different with west's. But east and west's symbolizing literary and a basis for recognition will be different. Investigating about rain's reality and the meaning of connotation in Korean Classical poetry can helps separating rain's traits of each reason. Investigation of some themes in literature is the basic of understanding about literary words and literary symbols. In this article, basis with these debate and will separate the meaning of rain in the original meaning and reflection of people's mind and will analyze its reality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it. First, rain is work for the theory of nature(climate urea, index of season, and catalyst for extinction and purification) and second, it works for symbolizing personal lyricism(metaphor of tears, surrogate of impressions, hardshipㆍtrial and obstacle, and support material of elegance and interest). If literary figuration of rain and its ability can be available to today's popular songs and can found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classic literary then experience of theme can be very important in side of the communication of literary, and for this access of theme should be the basis of experience.

<국문초록>

1. 문제제기 및 대상자료

2. 비 [雨] 소재 시가문학의 전례(前例)

3. 시조에 드러난 비[南]의 실상과 그 의미

4. 객관적 자연원리 기능과 개인적 서정의 울림

5.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