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카리스마적 리더십과 SL Ⅱ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of Charisma and SL Ⅱ

  • 63
113443.jpg

본 논문은 지금까지도 조직훈련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SL Ⅱ와 카리스마의 연계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다른 여러 이론과 마찬가지로 SL Ⅱ도 여러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의 실용적인 적용과 명쾌한 해답으로 인해 기업훈련에서는 많이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SL Ⅱ와 카리스마적 리더십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 기업에 요구되는 긍정적인 리더상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했으며 그 결과를 통해 올바른 해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인간에 대한 진지한 고찰은 어려운 경제상황 속에 놓여 있는 이 시대에 긍정적인 자아상을 심어주는 하나의 방법론이라 생각되며, 실용적인 해법을 통해 자신과 타인들에게 긍정적인 자아상을 심어주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리더들을 함양할 수 있는 혜안을 제시하리라 본다. [가설 1]은 카리스마에 따라 지시적(telling) 유형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지지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카리스마적 성향을 보유한 리더들이 위기상황에서 빈번하게 출현하며, 리더와 추종자들은 서로 간에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갖게 된다는 기존의 관점과 관련이 있다. 이때 리더는 추종자들의 지원과 적극적 복종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에 대하여 추종자들은 리더가 자신들의 욕구를 해결해주고 혜택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하게 된다. 이러한 충성스런 추종자들 없이는 카리스마가 형성될 수 없다. 이들은 서로 간에 강력한 정서적 유대를 형성하게 된다. [가설 2]와 [가설 3]은 기각되었다. [가설 4]는 카리스마에 따라 위임적(delegating) 유형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지지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카리스마의 성향은 중요한 권한을 부하에게 위임하고, 부하의 기술과 자신감을 개발하고, 자유관리팀을 만들어 내고, 민감한 정보에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불필요한 통제를 없애고, 임파워먼트를 지지하는 강한 문화를 건설하는 것과 같이 부하들에게 활력을 부여하고 부하들이 리더에게 덜 의존하게 만드는 일을 하곤 한다. 그들은 조직 내에서의 중요한 관점인 부하를 개발하고 활력을 부여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관점과 관련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an answer to the impact of charisma on SL Ⅱ. The leader who manage enterprise successfully have charisma. The hypothesis is charisma have positive effect on SL Ⅱ. Experimental results verified the hypothesis. The result is charisma have effect on telling and delegating. The human being who have charisma impact on followers. He ask for followers must have vision. This result agree with Bennis & Nanus"s viewpoint. The charisma have positive impact on telling and delegating. This result agree with many scholar"s viewpoint. They are Argyris, McGregor, Likert, Ashforth, Mael and so on. But although for all result this study need to do following study about detailed question.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설계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