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金克己 <有感>의 주제 심화 양상

Subject Deepening Aspect of Geukgi Kim(金克己)'s <FEELING>(有感)

  • 58
113405.jpg

金克己의 <有感>은 서술적 표현이 주가 되는 五言古詩로서, 무신집권기 장편古詩의 특성과 각 수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주제가 심화되는 聯詩의 한 유형을 보여준다. 1수에서 화자의 고뇌는 인간이면 다 갖는 본연의 것으로, 맑은 경치를 몸소 찾아다니며 해소한다. 고뇌는 국화나 난초처럼 세속의 영욕에 얽매이지 않는 선비로서 살려고 하는 개인적인 고뇌이다. 2수에서 화자의 고뇌는 벼슬의 속박에서 오는 것으로, 고뇌를 잊기 위해 술을 마시거나 잠을 청하여 꿈에서 고향 산천을 노닌다. 이처럼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고뇌를 해소하는 방식은 자연에서 고뇌를 해소하던 1수의 방식보다 퇴행한 것으로 고뇌가 심화되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나 백성들에 대한 애정이 있기에 속박을 받으면서도 훌륭한 관리가 되려는 화자의 고뇌는 관리로서의 책임 의식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사회적인 성격을 띤다. 3수에서 화자는 문인으로서의 자기 비하가 심해지면서 긍지라고는 찾아볼 수 없다. 의식이 명료한 상태에서의 과거 회상은 술에 취해 의식을 마비시키거나 무의식의 세계인 꿈속에서 고향 산천을 배회할 때보다 고뇌가 한층 심화되었음을 암시한다. 무신집권기의 문인인 화자는 시대의 구조적 모순을 해결한 능력이 없었기에 흐르는 눈물을 가리며 더욱 슬퍼할 뿐이다.

Geukgi,Kim(金克己)'s〈FEELING>(有感), as the ancient poem of five words that the narrative expression amounts to commentary, not only becomes the work that deepens the speaker's suffering in form of a sonnet sequence, but also it shows well Geukgi, Kim's capacity as a poet and the sonnet sequence(聯詩)'s characteristic in the age of military government. In the first poem, the speaker's suffering is that he will want not to curry favor with the hoi polloi. He equates an orchid with himself as well as he scrounges the clear scenery personally to lead an idle life. In the second poem, the speaker's suffering comes from the binding and restraint of his government post. He drinks or asks sleeping to forget the suffering and then he strolls his hometown mountains and streams in his dream. His suffering is deepened, but he can not leave the actuality as he has the affection for the people. In the third poem, the speaker can not be found the dignity while his self-humiliation becomes serious as a literary man. His past recollection in sober state hints the suffering deepened to the climax rather than he paralyzes his consciousness in drink or he wanders his home town mountains and streams in his dream of the unconscious world. The speaker literary man in the age of military government has no ability to solve the structural inconsistency of society at that time, so the speaker only hides flowing tears and feels sad more.

요약

1. 서론

2. 고뇌의 원인과 심화 과정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