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초기 국문 장편소설 <옥기린(玉麒麟)> 연구

A Study of <OkGiRin(옥기린)> in the early ages of long novel written in Korean

  • 147
113406.jpg

본고는 초기 국문 장편소설인 <옥기린>의 전반적인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비평 소설인 <여와전>에서 나란히 언급되고 있는 <소문록>과 비교한 결과, ‘친불교적인 작품 성향’, ‘전생담의 설정’, ‘호방한 군자와 냉정한 가인상 제시’ 등의 측면에서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두 작품에서 주로 형상화는 갈등의 특징이 서로 상반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각 작품이 초기 국문 장편소설사의 두 흐름을 대변하는 작품임을 보여주었다. <소문록>이 혼인 이후의 부부갈등과 처처갈등에 주목한 반면, 낙질본으로 전하는 <옥기린>의 현전 부분은 재자가인의 혼사 장애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특히 <옥기린>은 현명하지 못한 모친에 의한 혼사 파기와 烈節을 지키기 위한 여주인공의 가출, 혼사 이후 처처간의 화목 등을 중요한 서사 골격으로 하는데, 이는 후대의 <임화정연> 및 <구래공>ㆍ<옥수기> 등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필자는 이 작품군을 ‘국문재자가인소설’이라는 하나의 유형으로 상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designed to give the entire picture of <OkGiRin(옥기린)>, which was read in the early ages of long novel written in Korean. For that purpose, we make a comparative study of <SoMunRok(소문록)> at first because critical novel <YeoWaJun(여와전)> referred to two works in same line. Those works had following similarities ; an inclination for Buddhism, the inserted story about sins committed in heroine´s previous existence, characters of amorous wit and cold-hearted beauty. But two had big differences. <OkGiRin(옥기린)>, a missing volume, paid attention to an obstacle to marriage, on the other hand <SoMunRok(소문 록)> described married life such as husband-wife conflicts and wife-wife conflicts. These two diffrent feature just means two sharp current in the early ages of long novel written in Korean. Especially <OkGiRin(옥기린)> had a typical structure of broken engagement by unwise mother, heroine's stubbornness about feminine virtue, peace within wives in married life etc. In addition, we can find another examples among later works like <Im-Hwa-Jung-Yeon(임화정연)>ㆍ<GooRaeGong(구래공)>ㆍ<OkSuGi(옥수기)>, etc. In this point, we suggest that we call those novels "a novel about wit and beauty written in Korean(국문재자가인소설)."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옥기린>과 <소문록>의 유사점 고찰

Ⅲ. <옥기린>과 <소문록>의 차이점과 소설사적 의미

Ⅳ.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