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패설의 변화와 『消閒細說』
The Transfiguration Aspect of Paesol(稗說) in Sohansesol (消閒細說)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3권 1호
-
2014.045 - 29 (24 pages)
- 169

이 글은 19세기 이후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필사본 패설집 『消閒細說』을 소개하고 그 개략적인 특징을 제시한 것이다. 『소한세설』에 실려 있는 32화의 이야기 중에는 여타 작품집에서 볼 수 없는 작품이 상당수 있으며 다양한 장르의 이야기가 혼재된 성격을 지니고 있어 주목된다. 『소한세설』의 편찬자는 전대의 패설을 수용하면서 약간의 변개를 꾀하기도 하고, 구비설화, 소설 등 다양한 장르를 패설집 내로 포섭하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등장인물의 이름, 지명 등을 허구적으로 창조하였으며 이야기의 말미에는 평을 붙이고 있는데, 이는 형식적으로 완성된 이야기의 틀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 전고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점, 다양한 갈래와의 교섭을 통해 서사를 확장시키는 것은 『소한세설』의 특징이라 할 수 있으며, 19세기 패설문학의 변화라는 사적(史的) 흐름 속에서 이를 이해할 수 있다.
This paper aimed to survey the characteristics of Sohansesol (消閒細說), written in late 19th century. There are 32 stories in this work, and some of them have never been seen before in other Yadam(野談) or Paesol(稗說) collections. The author of Sohansesol (消閒細說) derived stories from two different sources: (1) to embrace the stories in former Paesol(稗說) collections making a few slight modifications, (2) to collect stories from another narrative genre such as folk-tales, novel, etc. In the process, the author made names of the character and place entirely fictional, and attached critical comments at the end of each story. He intended to put stories into formulaic pattern. It is the distinct characters of Sohansesol (消閒細說) that abuse of authentic precedent, make story longer by mixing other stories, and it need to be interpreted under transfiguration of Paesol(稗說) genre in 19th century.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消閒細說』 소재 이야기의 존재 양상
Ⅲ. 『消閒細說』의 글쓰기 방식과 의미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