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역영어 시험의 지문의 소재와 문항유형 분석 및 학습자 반응
The Analysis of 'Trade English' Test in Terms of the Subject Matter, Types, and Students' Response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3권 1호
- : KCI등재
- 2014.04
- 31 - 66 (35 pages)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3년까지의 국가공인자격 무역영어 1급시험을 지문의 소재와 문항유형에 따라 분석하고, 무역영어시험 학습자들의 시험에 대한 반응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4개년간의 1급 1차 시험문항을 출제지침에 따른 분류표에 따라 분석하고, 무역영어시험 수험자들이 많이 가입한 3개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시험시행일을 전후로 하여 올라온 글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문의 소재별 분석에서는 'Business 기타' 부분이 2012년부터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유형별 분석에서는 무역영어의 특성상 평가적 이해를 측정하는 문항은 없었고, 일부 유형들은 통합 및 추가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들에 따라 기존의 출제지침으로 사용된 분류표를 수정 보완하여 새로운 지침이 되는 분류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학습자 반응을 살펴본 결과, 학습방법에 대한 지침을 수험자들에게 정확하게 안내하고, 이의신청에 대해서도 합리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제안된다.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items of 'Trade English' test in terms of the subject matter and types, and to see the students' response. For this purpose, the items of the first tests from 2010 to 2013 were analyzed, and the writings in three different online communities were classifi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subject matter expanded beyond the traditional subjects of the letter. In terms of the type, there were no questions in evaluative/critical level since Trade English did not require those abilities. Regarding the types of the items, while the letter was the main subject of the items before, discourses and other types were dealt with as the time goes on. Testees wanted to get the guidelines for 'Trade English' test. This study suggests the revised guidelines for both the testers and the testees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와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