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3486.jpg
KCI등재 학술저널

롤즈와 콜버그의 도덕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Rawls and Kohlberg's Moral Theory

  • 1,624

"사상체계의 제1덕목을 진리라고 한다면 정의는 사회제도의 제1덕목이다"라는 롤즈(Rawls)의 『정의론』의 구절은 그의 도덕이론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롤즈의 정의론과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을 중심으로 정의감 형성에 대해 고찰하면서, 공동체주의와 배려 윤리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에 대한 보완으로서 동감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쇼펜하우어의 도덕이론에서 찾고자 하였다. 롤즈의 도덕이론에서 정의감 형성이 전통적 의미의 의무론적 윤리학, 보편주의적 전통을 계승하고 있으며, 콜버그 역시 롤즈의 정의의 원리를 근거로 도덕발달이론을 발전시키면서 정의감 형성을 다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한 공동체주의의 비판과 여성주의 윤리학을 중심으로 양자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비판에 대한 연구자 자신의 대안으로 서구 계몽주의 이후 동감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쇼펜하우어의 도덕이론이 칸트주의적 의무론 비판하고 있지만, 쇼펜하우어의 동감의 이론이 보편주의적 성격과 합리주의 입장에서 논의를 개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동감 이론이 칸트적 규범적 윤리론에 대한 비판을 수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focused on Rawls's moral theory with reference to his works A Theory of Justice, and Kohlberg's conception of moral development theory. The aim of thesis was to examine Rawls and Kohlberg in the theoretical similarities. In chapter two, I analyzed Rawls's theory of justice. Especially, I tried to examine the moral theory on Rawls's Justice, focusing on 'justice as fairness', 'rationality and good', 'sentiment of justice and moral psychology'. Then we understood Rawls's moral theory which was based on universalism in moral theory. Moreover, we could grasp the person as antecedently individuated or unencumbered, priority of right over good, and developmental stages in sentiments of justice. In next chapter, I analyzed Kohlberg's theory of justice. Especially, I tried to examine the moral theory on Kohlberg's conception of moral development theory, comparing with Rawls. Then we understood Kohlberg's moral theory which was based on Rawls. The content of chapter Four reviewed Rawls and Kohlberg in terms of communitarianism, mainly MacIntyre, and feminist ethics focused on 'conception of ego', 'priority of right' and 'gender'. From those explanation, we could grasp the critics that was due to understanding between universality and difference.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롤즈의 공정으로서의 정의와 정의감

Ⅲ.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과 롤즈의 정의의 원리

Ⅳ. 롤즈와 콜버그에 대한 비판

Ⅴ. 결론에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