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3488.jpg
KCI등재 학술저널

서사적 창작춤 작품분석 방법론 연구

An Inquiry into the Methodology of Narrative Creative Dance Analysis

  • 49

본 연구는 서사적 창작춤 작품 분석 방법론에 관한 것으로, 이는 서사적 창작춤 작품을 분석할 때의 방법을 제시하여 춤 작품이 관객과의 소통을 쉽게 하고 춤 작품의 바른 이해를 통해 작품의 질적 효과를 거두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방법에 근거한 문헌연구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서사적 창작춤 작품에는 춤의 길이(시간)와 상관없이 '서사'(storytelling)가 있어야 한다. 둘째, 서사적 창작춤 작품에 들어 있는 이야기는 오늘의 이야기로 춤 작품의 내용으로 대치될 수 있는 개연성이 있으며, 이야기로 춤 작품을 구성함으로써 관객은 안무자가 무엇을 표현하고자 하는지 이해하기가 쉽다. 셋째, 서사적 창작춤 작품에 있어서 이야기를 해야 하는 이유는 이야기가 있는 춤 작품은 청중을 몰입시키고 춤의 내용전개에 관심을 가지게 만들며 무엇보다 이야기의 재미에 몰입함으로써 춤 공연의 대중성을 획득하기가 쉽다. 넷째, 시드 필드의 패러다임 분석은 이야기의 극적 해결을 위한 치밀한 구조를 만들어 줄 수 있는 분석표로 서사적 창작춤 춤 작품에 적용되었을 경우 춤 작품을 적절한 시간으로 배분하여 지루함 없이 관객이 작품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methodology of dance analysis, which helps promote dancers'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enhance qualificative effects of dance performance by facilitating an understanding of dance on the audience's part. The methodology employed here is document research based upon a qualitative on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l creative dance performance should have storytelling without regard to the duration or running time of the performance. Second, the narrative of creative dance is characterized by its plausibility, tapping into contemporary ideas and accordingly, it can be replaced with the contents of the work. In brief, the narrative being the contents of the performance, the audience finds it easy to figure out what the choreographer aims to convey through the dance work. Third, the storytelling of creative dance allows the audience to be immersed in the performance. This means that they feel more interested in how the work will be deployed and it will thus lead to enhancing the popular appeal of the work. Eventually, the paradigm analysis of Syd Field is an analysis table which creates an elaborate, well-organized structure for a dramatic solution of a story. In case, this particular method is applied to dance performanc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divide the work into an appropriate time frame so that it might help the audience to appreciate the performance without getting bored.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서사(storytelling)와 춤 작품

Ⅲ. 시드 필드의 패러다임 구조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