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어 준구어 어절 구조 연구

Quantitative Linguistic Research on the Phrase Structure of Spoken Korean Language

  • 217
113489.jpg

본 연구는 어절이 통사적인 짜임새의 기본적인 단위이면서 또한 형태론적인 짜임새의 최대 단위라는 점을 중시하여, 총 10편의 한국 영화와 4편(5회/편)의 한국 드라마로 구성된 준구어 음성 전사 말뭉치를 기초 분석 자료로, 이들 준구어에서 나타나는 어절 구조의 사용 실태와 그 특징을 어절들의 음절수, 형태수, 형태 결합 양상 등 3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계량언어학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이 연구 결과를 각각 영화와 드라마, 남자와 여자로 세분하여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어절들의 음절수를 보면, 음절수가 1~4개인 어절이 전체 어절의 95%를 차지하였으며 그중 1~3개인 어절이 전체 어절의 85%를 차지하였다. 또한 형태수 측면에서, 1~3개 형태로 된 어절이 98%를 차지해 대부분의 대화들이 이들 위주로 진행됨이 발견되었다. 준구어 어절의 형태 결합 양상을 보면, 명사류, 동사류, 감탄사류, 부사류, 대명사류 어절 구조는 전체 준구어 어절의 86.326%를 차지해 높은 사용률을 보였으며, 부류별 개별 구조들도 전부 상용 구조가 있어 절대 대부분의 대화가 이들을 둘러싸고 진행됨이 발견되었다. 또한 위의 분석 결과를 드라마와 영화, 남자와 여자로 나누어 비교 분석을 진행한 결과 각 비교 항목별로 일부 차이를 보였지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준구어에서 사용률이 높은 개별 구조들이 각 비교 항목별로도 사용률이 높고 준구어에서 사용률이 낮은 개별 구조들이 각 비교 항목별로도 사용률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usage condition of phrase structures and its characteristics in the spoken Korean language. The quantitative linguistic analysis on the voice transcription corpus consisting of 10 films and 4 dramas deals with the numbers of syllables, morphemes and aspects of combined morphemes. In terms of syllable numbers, the phrases with less than four syllables account for 95% of total phrases. In the numbers of morphemes, the phrases less than 3 account for 98%. This result shows that most of our dialogues are accomplished in such circumferences. In the aspects of combined morphemes, the phrase structures of noun, pronoun, verb, adverb, interjection take as high as 86.326% of the spoken language. The comparative analysis on film, drama, men and women respectively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국문초록

Ⅰ. 들어가기

Ⅱ. 기초 분석 자료

Ⅲ. 음절수에 따른 어절 구조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

Ⅳ. 형태 수에 따른 어절 구조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

Ⅴ. 형태 결합 양상에 따른 어절 구조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

Ⅵ. 나오기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