地母神의 부활과 생태학적 관점들에 대한 含意
A Revival of the Goddess of Earth and Its Implications upon Ecological Perspectives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28권
-
2011.04217 - 250 (33 pages)
- 52

본 논문은 현행 생태여성신학이 이원론을 지양하고 성별, 종교, 생태학에 대한 새로운 범형을 재건하고자 하는데 대한 고찰과 분석이다. 그 동안 종교들은 인간의 본성과 우주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기본 생각에 심대한 영향을 미쳐 왔고 특히 여성에 대한 차별이 교리와 결부되면서 거의 신성불가침의 영역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신성불가침처럼 간주되어온 가부장 제도의 붕괴가 유사 이래 처음으로 현실화되고 있다. 생태 운동과 여성 운동의 접목인 생태페미니즘(Ecofeminism)은 현재 가장 강력한 현대 문화 조류 중의 하나로 떠오르면서 새로운 차원의 해방과 생태 정의를 이야기 하고 있다. 이 글은 페미니즘과 생태학, 그리고 신학이 조우하면서 형성된 생태여성신학이 제기하는 종교적 상징 시스템의 분석을 통해 성과 권력,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explores religious symbols concerning the Goddess and its relations to woman and ecology. Religions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basic concepts of human nature and the Cosmos-human relationship, especially th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s participation in shaping dogma, which has led to the canonization towards sacrilized patriarchy. A movement to deconstruct the present sacrilized structure has taken form in this era for the first time. Ecofeminism, the synergy of the woman and ecological movements, has led to a surge in modern cultural tides that speak of a new form of ecological justice and liberation. It is argued that the rise and growing influence of Ecofeminist theology, a product of the synergy of feminism, ecology and theology, has facilitated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reevaluation of the human-Earth relation and the gender-power relation through the reassessment of the religious symbol-system.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생태페미니즘의 기원과 이론적 전제
Ⅲ. 생태페미니즘과 여신 운동
Ⅳ. 지모신과 지구의 치유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