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신궁' 설립을 둘러싼 논쟁의 검토
Criticism on Religious Policies of the Japan Government-General of Chosen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27권
-
2010.12155 - 191 (36 pages)
- 210

이 논문은 일본의 국가신도를 중심으로 한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을 살펴본 것이다. 조선총독부는 한국을 강점하는 순간부터 일본의 신사제도 곧 국가신도를 이식한 동화정책을 구상하여 그 중심이 될 신사설립을 계획하였다. 그래서 1912년에 예산을 계상하고 1925년 마침내 서울 남산에 조선신궁이 건립되었다. 강점 직후부터 주도면밀하게 진행된 이러한 일제의 종교(신사)정책은 식민지 통치 상 및 식민지의 정신적 지배를 위한 문제였다. 국가신도는 근대 천황제 국가가 만들어낸 국가종교로 메이지 유신이래 일본인들을 정신적으로 지배했던 도구였다. 때문에 식민지 조선에 계획된 신사제도도 천황제 이데올로기 침투의 중요한 回路였던 셈이었다. 총독부는 식민지 조선인에게 천황제 이데올로기를 주입하는 기반으로서 신사제도의 확립을 서서히 기도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religious policies of the The Japan Government-General of Chosen, focusing on the Chosen-Shingung(Shri ne) that builded in 1925. It tries to disclose the plot that was hidden i n the religious policies of the Japan Government-General of Chosen. A t that time, the dispute on the subject of sacrificial rite of the Chosen -Shingung(Shrine) was obviously the plot for brain-washing and Japani zation of Korean through the manipulation of religion in colonial perio d. Following this, this paper is composed largely of the history of stat e-shinto, the Korea-Invasion and plot of Chosen-Shingung building, th e process of decision and dispute on the subject of sacrificial rite of t he Chosen-Shingung, the plot for brain-washing and Japanization of K orean by Japanese religious officials.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일본의 해외침략과 국가신도
Ⅲ. 일제강점과 조선신사 설립계획
Ⅳ. 조선신궁을 둘러싼 논쟁의 전개와 주장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0)
(0)